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내년 경제는 올해보다 좋을 것"... 소비자심리지수 전월보다 3.4p 상승

▷ 향후경기전망 등 대부분의 소비자동향지수 ↑
▷ 금리수준전망 하락폭 커

입력 : 2022.12.27 10:30
"내년 경제는 올해보다 좋을 것"... 소비자심리지수 전월보다 3.4p 상승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1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전월보다 3.4p 상승한 89.9p로 나타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점차 낙관적인 방향으로 자리를 잡는 모양새입니다.

 

생활형편전망이나 향후경기전망, 취업기회전망 등 대부분의 소비자동향지수가 우상향 곡선을 그렸는데요. 현재생활형편지수를 제외한 모든 지수가 하락한 모습과는 지난 11월의 모습과는 다릅니다.

 

특히, 지난 487p에서 7월에 50p까지 추락했던 향후경기전망지수가 12월엔 8p 오른 62p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항목 중 가장 큰 증가폭이며, 그 다음으로 현재경기판단지수’(+5p), ‘취업기회전망(+4p)’ 등의 순인데요.


★ 소비자심리지수: 100보다 클 경우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기대심리가 과거(2003~전년 12) 평균보다 낙관적이며, 100보다 작을 경우엔 비관적임을 의미

 

아울러, 가계부채나 향후 물가 수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 비교적 호전된 걸로 나타났습니다.

 

물가수준전망지수가 전월대비 5p 하락한 151p, 현재가계부채지수/가계부채전망지수 역시 전월대비 2p 하락한 102p로 드러났으며, 기대인플레이션도 전월보다 0.4%p 떨어졌습니다.

 

특히, 금리수준전망이 전월대비 18p 떨어지면서 항목 중 가장 큰 하락폭을 보여주었습니다. 최고 152p까지 치솟았던 지난 7월의 모습과는 대조적입니다.

 

가계부채나 금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비교적 호전된 것과 달리, 한국은행은 여전히 긴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12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적인 대출의 규모가 점차 줄어든 건 맞으나, 가계부채 수준이 여전히 높은데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이 급격히 증대되면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코로나19 때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들의 경우 금리 부담은 물론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영업비용 증대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채무상환능력이 부족한 취약차주의 비중도 전체 차주의 6.3%로 줄어들지 않는 모양새인데요.


★ 예금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가중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

2021125.1%→ 202266.0%→ 107.2%

 

문제는 기업신용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대출을 선택하면서 기업신용이 높은 증가세를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기관의 기업대출은 20223/4분기말 1,722.9조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 증가한 상황인데요. 이와 함께 기업의 부채비율은 20222분기말 83.1%, 전년동기대비 상승했습니다.

 

정부는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중소/소상공인 등 기업금융 데이터 인프라를 확충해 금융권의 원활한 기업금융 공급과 리스크 관리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며, 자금부족으로 인해 혁신기업의 성장동력이 둔화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