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스닥 시장 전체 공시 22,036건... 기업활동 위축으로 전년보다 7.3% 감소
▷ 경기 침체, 고금리 상황 장기화 영향
▷ '자금조달' 관련 공시 줄어든 게 눈에 띄어
▷ 코스피 시장 대어 '마켓컬리' 마저 상장 연기... 코스닥 시장 전망도 어두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2년의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았듯이, 코스닥 시장에도 한파가 불어 닥쳤습니다.
지난해 코스닥 시장의 전체 공시건수는 총 22,036건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의 수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공시가 줄어들었다는 건 그만큼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었다는 점을 뜻합니다. 경기 및 증시 침체, 고금리 여파로 인한 자금조달의 어려움 등 공시에 실리는 주요한 기업활동들이 위축되었기 때문입니다.
공시의 유형 별로 살펴보면, 상장기업이 중요한 경영사항(합병, 주식교환, 영업양수도)이 발생할 때마다 신속하게 공시해야 하는 ‘수시공시’의 경우 2022년에 전년보다 797건(-4.1%) 감소한 18,76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이 수시 공시한 정보들 사이에서 눈여겨볼 부분은 ‘자금조달’입니다. 주식을 발행해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증자’가 1,024건으로 전년보다 225건(-18%) 줄어들었으며, 회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등의 ‘주식관련사채’는 902건으로 304건(-25.2%) 감소했습니다.
이에 대한 영향으로 실제로 기업에 조달된 자금규모도 유상증자가 5.5조 원, 주식관련사채는 5.8조 원으로 각각 -16.7%, -35.6% 떨어졌습니다.
자금줄이 막힌 데에는 코스닥 지수의 부진, 정부가 부채를 잡기 위해 기업의 사채발행규제를 강화하는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지난해 10월에 발생했던 레고랜드發 자금경색 사태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레고랜드를 짓기 위해 빌린 돈을 갚기 곤란하다는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한 마디는 금융시장에 혼란을 불어넣었고, 당시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50조 원이 넘는 유동성 공급 조치를 내놓은 바 있습니다. 채권시장안정펀드
20조 원, 회사채와 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16조 원 등 대량의 재정이 투입되었는데요.
문제는 자금경색 뿐만이 아닙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미국은 물론 한국의 일관적인 금리 상승 기조에 기업의 투자활동도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신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타법인주식 취득 공시가 2022년도 417건, 유형자산 취득이 100건으로
전년대비 각각 63건(-13.1%), 40건(-28.6%) 떨어졌습니다. 자금경색과 투자활동의 위축은 인수합병(M&A) 시장의 부진을 불러왔는데, 최대주주 변경 공시가 132건으로 전년보다 84건(-38.9%)
감소했습니다.
반면, 하락세를 보이는 코스닥 시장 속에서 기업들은 주가를 방어하기 위해 자기주식을 취득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신탁을 포함한 자기주식 취득 공시가 603건, 전년보다 198건(48,9%)나 증가했는데요. 셀트리온그룹의 3사, 컴투스, 현대모비스
등 많은 기업이 주주들과의 신뢰를 돈독히 하기 위해서 과감하게 자기주식을 사들였으며, 이는 2023년 신년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상장기업들의 ‘현금
및 주식배당’ 공시가 953건으로 190건(24.9%) 늘었는데요. 혼란스러운
주식 시장 속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배당’이 높은 사회적
관심을 받으며, 시장의 배당기반 투자여건이 꾸준히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수시공시 뿐만 아니라 공정공시(공시되지 않은 중요정보를 모든 시장참가자들이 알 수 있도록 공시하는 제도) 역시 전년대비 13건(-1.3%) 감소한 1,007건, 조회공시(거래소가 상장기업에게 정보를 요구해 공시하는 제도)는 127건(-67.9%) 줄어들어 60건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상장법인이 스스로 중요 정보를 공시하는 자율 공시의 경우, 전년대비 750건(-25.4%) 하락한 2,208건입니다.
오는 2023년 대부분의 경제 전망이 암울함에 따라, 코스닥 시장도 마찬가지로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유통업계의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인 ‘마켓컬리’마저 ‘투자심리 위축’을 이유로 한국거래소(코스피) 상장 계획을 연기했습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기조를 꾸준히 이어가고, 한국은행이 그 흐름에 동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기업이 투자자금을 원활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이상, 코스닥 시장의 부진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