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이자부담∙집값추락에 밤잠설치는 2030 영끌족
▷기준금리 3.5% 가능성…하우스푸어 전락 우려
▷전국주택매매량 49.7% 감소…집값도 함께 하락
▷정부, 특례보금 자리론 한시적 운영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최근 직장인 A씨(남·32)는 출근 전이면 들렀던 샌드위치 가게를 찾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 전세자금대출 이자가 늘면서 한 푼이라도 아껴보고자 내린 결단입니다. 대신 A씨는 집에서 잼을 바른 식빵을 만들어서 출근하고 있습니다. A씨는 “이자부담이 상당해 어쩔 수 없이 이렇게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으로 고금리 현상이 지속되면서 2030세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른바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은 하우스푸어(House Poor·내 집 빈곤층)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우스푸어란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출에 따른 과다한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생활고를 겪고
있는 가구를 말합니다.
실제 한은은 지난해 9월부터 기준금리를 인상을 시작해 0.5%에서 3.25%까지 올렸습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기조와 더불어 최근 한은이 물가안정 중심의
통화정책을 이어간다고 밝히면서 기준금리가 3.5% 수준까지 올라갈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무리해 빚을 내서 내 집 마련에 나섰던 사람들의 이자부담은 크게 늘어났습니다. 실제 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정할 때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코픽스)가 4%대를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이는 코픽스 공시가 시작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지난해 5억원을 대출받아 아파트를 매입한 A씨는 “올초 3.94%였던
대출 금리가 현재 5.11%까지 올랐다”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모르겠다”고 울분을 토로했습니다.
#금리상승에 거래절벽…가격도
함께 하락
이처럼 금리 상승이 지속되면서 부동산 거래 감소는 물론 가격 하락현상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44만 996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9만4238건)과 비교해 49.7%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한동안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청약시장 열기도 잠잠해졌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7.7대 1로 2021년(19.8대 1)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지역별로는 세종(49.6대 1), 부산(37.2대 1), 인천(16.1대 1), 대전(12.3대 1) 순으로
높았고,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지역은 전무했다. 일반분양에
나선 384개 단지 가운데 175곳(45.6%)에서 미달이 발생했고, 경쟁률이 높았던 아파트에서도 당첨
후 계약 포기 사례가 속출했습니다.
이처럼 아파트 등 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가격도 함께 떨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직방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매매가격(1~11월)은 지난해보다 4.5% 하락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월별 시세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큰 수치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은 12%, 대구는 9.2% 하락해 폭이 컸습니다. 인천과 서울도 각각 8.3%, 4.9% 떨어졌습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택 시장 안정성과 구입 능력’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 19 대유행 기간 한국의 집 값이 지나치게 상승해 앞으로 오랫
동안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와 같은 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될 경우 부동산 매물은 더 늘어나고, 집값 하락현상도 더 두드러질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이같은 ‘하우스푸어’가
양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특례보금자리론을 내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변동·혼합금리 주담대를 최저 연 3.7% 고정금리
주담대로 갈아탈 수 있게 한 '안심전환대출'과 주택 구입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고정금리 대출인 '적격대출'을 보금자리론에
통합한 상품을 말합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