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수난시대... 수도권 아파트값 크게 하락
▷ 매매, 전세, 월세 등 모든 부동산 가격 지표 ↓
▷ 특히,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하락폭 커... 영끌족들 시름 깊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국내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날 기미가 좀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지난 11월, 매매는 물론 전세와 월세 모두 지역을 가리지 않고 가격이 떨어졌는데요. 특히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 하락폭이 다른 지역들보다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15일 ‘11월
월간주택 가격동향’을 발표했습니다. 부동산의 가격과 관련된
모든 지표가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먼저, 주택매매가격지수의 경우 지난달보다 전국에서 1.37% 떨어졌습니다.
수도권이 -1.77%로 하락폭이 제일 컸고, 서울이 -1.34%, 지방이 -1.01%로 나타났는데요.
거래량은 지난 10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수요 둔화로 인해 매매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부동산 붐이 일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매매가격의 하락폭을 더욱 실감할 수 있습니다. 전년동월비 전국 매매가격지수의 변동률은 -2.47%, 수도권은 -3.67%이며, 서울 -2.59%, 지방 -1.40%로 나타났습니다.
매매가격이 크게 하락한 데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등으로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되었고 이것이 그대로 부동산 시장에 그대로 옮겨와, 거래가 크게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요가 감소해 부동산 매물이 쌓이면 가격이 자연스럽게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의 경우, 전월 대비 도심권(-0.87%)보다 강북권(-1.39%), 동북권(-1.63%), 동남권(-1.37%)의 매매가격이 더 떨어졌습니다.
해당 지역에 자리한 노원구가
-2.82%, 도봉구는 -1.62%, 동대문구 -1.42% 등으로 나타났는데요. 송파구를 비롯한 영등포구, 강남구 역시 매매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부동산 매매가격이 오른 지역은
서울 내에 한 곳도 없는 셈입니다.
인천(-2.41%, 전월대비)과 경기(-1.91%), 부산(-1.41%), 울산(-1.86%) 등 국내 거의 모든 지역의 부동산 매매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 전북 김제시와 경북 영주시, 칠곡군만이 하락세를 피했습니다.
부동산 매매가격이 그나마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북 영주시로, 전월 대비 0.25% 상승했습니다.
주택 유형으로 따지면, 매매 시장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곳은 수도권에 자리한 아파트입니다.

지난 11월엔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단독주택 등 주택의 종류와 지역을 가리지 않고 매매가격이 떨어졌는데, 특히 수도권 아파트에서 가장 큰 폭(-2.49%)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 부동산을 구하기 위해 모든 경제적 여력을 끌어다 쓴 '영끌족'의 시름만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세 역시 매매와 마찬가지로 모든 지역에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지난
11월 전국 전세가격지수는 전국에서 -1.55% 떨어졌는데, 수도권이 -2.18%로 가장 크게 떨어졌습니다. 서울이 -1.84%, 지방이 -0.98%로
나타났는데요.
지역 별로 세심하게 살펴보면, 전국에서 전세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세종’(-2.47%)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인천(-2.42%), 경기(-2.36%), 울산(-1.84%) 등의 순입니다. 가장 적게 떨어진 지역의 경우 ‘제주’로 -0.13%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전세 가격이 떨어진 데에는 매매가격의 하락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서울의 부동산이 팔리지 않자 많은 집주인들이 매매를 전세로 바꿔서 시장에 내놓았고, 전세 물량이 증가하자 가격이 자연스럽게 떨어진 건데요.
여기에 고금리로 인한 대출이자 부담이 겹치자 부동산 전세 수요가 크게 하락한
셈입니다. 인천이나 경기, 5대광역시 같은 다른 지역 역시
부동산 매물이 쌓이면서 전세 가격 하락을 부추겼습니다.
전세 부문 주택 유형별로 살펴보면,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모든 주택 유형의 전셋값이 지난달보다 하락한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가 가장 크게 떨어졌습니다.

월세 역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수도권을 위주로 월세 가격은 크게 하락했으며, 준전세/준월세 등 모든 세부 월세 유형이 10월달 상승세에서 11월엔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주택 유형 별로 따져봐도, 연립주택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다수 주택유형에서 월세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