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오늘] 대통령실, “학력·경력 NO상관” 청년담당관 공개 채용
▷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7일 브리핑 진행
▷ “폭 넓은 인재 등용 방식, 정책 제안서로 발표와 면접만 심사”
![[국정 오늘] 대통령실, “학력·경력 NO상관” 청년담당관 공개 채용](/upload/9c90385ce3544ebd80dba0b27d6cffa0.jpg)
[위즈경제] 전희수 기자 = 용산 대통령실은 청년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업무를 담당할 청년담당관을 블라인드 채용한다고 7일 발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7일 브리핑을 통해 “국가 공무원 채용 시스템을 통해 새롭게 설치한 청년담당관 채용 계획을 공고했으며, 선발된 청년담당관들은 국민 통합 비서관실에서 근무한다”라면서
“청년 정책 수립, 제도 개선, 청년 참여 플랫폼 운영 등 청년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업무들을 맡을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청년담당관 채용은 폭넓은 인재 등용을 위해
공정 채용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채용 과정에서 나이 확인을 위한 나이 증명서를 제외하고
학력, 경력, 가족관계 등 어떠한 자료 제출도 없이 오로지
포부와 계획을 담은 청년 정책 제안서와 이를 바탕으로 한 발표와 면접만으로 심사받게 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채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내용 요건 등은 국가 공무원 채용 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니 많은 지원 부탁한다”라며 당부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정부는 이번 채용을 계기로 공공분야에서 공정 채용 방식을 향후
청년 인턴 채용 등에서도 적용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청년담당관을
여러 명 선발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남과 여
각 1명씩 총 2명 채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또한 그는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담긴 채용 방식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채용 방식으로, 2019년 경기도 청년비서관 블라인드 채용과 유사하다”라며
“당시 청년 비서관 채용 콘셉트를 많이 차용했지만, 이번
채용은 ‘대한민국 청년 정책 추진 방향’을 담은 정책 제안서에
범주가 달라졌을 뿐 기본적인 컨셉은 경기도 청년 비서관 채용 방식과 유사하고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채용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19년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로 직무를 수행할 당시, 학력·경력
등 스펙 위주 전형이 아닌 ‘정책 제안서’를 토대로 발표, 면접 등을 통해 ‘청년 비서관’을
뽑았다. 선발된 ‘청년 비서관’은 현재 모경종 인천 서구병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