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위드,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 판별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참여
▷한컴위드,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 판별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참여
▷2027년까지 허위조작 콘텐트 탐지 위한 데이터세트 구축 및 통합 탐지 시스템 개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컴그룹 계열사 한컴위드는 숭실대학교를 주관기관으로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와 함게 경찰청의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 판별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 국내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7년까지 앞으로
3년간 허위조작 콘텐츠 탐지를 위한 데이터세트 구축 및 통합 탐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해당 시스템은 허위 정보를 식별해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적 혼란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단계인 올해는 탐지를 위한 데이터세트 구축과 탐지 모델의 고도화에 집중하며, 내년부터는 머신러닝 기반 자동화 관리 시스템(MLOps)을 적용한
통합 탐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실증 테스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핵심 기술 연구는 숭실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연세대, 독일 부퍼탈대, 한컴위드가 함께 수행한다.
숭실대는 딥페이크 음성 탐지 모델을, 성균관대는 딥페이크영상 및 가짜뉴스
탐지 모델을, 연세대는 표준화된 데이터세트 구축을 각각 담당한다.
부퍼탈대는 다국어 데이터세트 수집과 글로벌 협력 연구를 맡으며, 한컴위드는
다양한 탐지 기술을 통합한 MLOps 기반 시스템의 개발과 실증을 진행한다.
통합 탐지 시스템은 딥페이크 범죄 수사, 비대면 인증 및 심사 과정에서의
진위 판별, 가짜 뉴스 유통 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가 및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 산업 전반의 허위조작 콘텐츠 대응 역량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경찰청이 주관한 최초의 국제 공동연구 사례로, 독일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한다.
딥페이크 탐지 시스템은 언어 차이나 인종의 외형 특성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단일 국가나 특정 기관의
탐지 기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탐지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다각도의 협력과 기술 공유가 필수적이다.
송상엽 한컴위드 대표는 “AI 기술 발전으로 딥페이크 및
딥보이스 기반의 사이버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라며 “각 기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