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잡코리아, AI 분야 채용 데이터 리포트 발행…”AI 인재 수요 증가 양상”

▷잡코리아, 인공지능 분야 채용 데이터 분석한 리포트 발행
▷”기업의 AI 인재 확보 경쟁 치열…채용 수요 또한 빠르게 성장”

입력 : 2025.05.20 10:30
잡코리아, AI 분야 채용 데이터 리포트 발행…”AI 인재 수요 증가 양상” (사진=잡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AI·데이터 기반 HR 테크 플랫폼 잡코리아가 인공지능(AI) 분야 채용 데이터를 분석해 리포트로 발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잡코리아는 지난 2022 1월부터 2025 2월까지 잡코리아 내부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와 기타자료를 통계 분석하고, 올해 3월 자사 회원 26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취합한 데이터를 공개했다.

 

잡코리아는 산업과 분야를 가리지 않고 AI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라며 “79.5%의 직장인들이 이미 AI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관련 채용 수요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 AI 산업 공고 수는 챗GPT 출시 전인 2022년과 비교해 2년 새 13.1%나 증가했다.

 

분야별로 살펴봤을 때 솔루션, 시스템 구축(SI), 고객 관리(CRM), 전사 지원 관리(ERP) 등의 IT 분야(35.3%) 외에도 광고·홍보·전시업(9.2%)과 금융업(3.5%) 등에서 발빠르게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직무별 공고 현황을 살펴보면 AI 기술을 실제 제품과 서비스로 구현하는 AI/머신러닝(ML) 엔지니어(9.4%)와 웹/앱 개발자(9.2%)를 모집하는 공고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데이터 엔지니어(3.5%),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2.8%) 순으로 채용 공고가 많았다.

 

구직자 차원에서도 AI 직무 취업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 3년간 관련 직무 지원자 수는 약 1.7, 공고 당 경쟁률은 약 1.8배 증가했다.

 

이에 대해 잡코리아는 단순한 기술 역량을 넘어 AI로 차별화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 시대가 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잡코리아 데이터를 종합하면, AI 직무는 다른 직무와 비교해 특정 스킬에 대한 요구사항이 명확한 것으로 분석되며, 직무별 필요한 역량으로는 AI/ML 엔지니어는 텐서플로(Tensorflow), AI/ML 연구원은 심층신경망(DNN),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데이터마이닝, AI 기획자는 AI 에이전트 활용 능력을 요구받았다.

 

잡코리아의 AI 전문 채용 플랫폼 ‘AI 잡스의 김주혜 서비스 리드는 최근 4년간 AI 모델은 빠르게 발전했고, 과거 컴프터의 발전 속도와 비교하면 7배나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라며 “AI 분야 취업 및 이직을 희망하는 구직자라면, AI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최신 AI 모델과 방법론을 실전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잡코리아는 AI 채용 시장 성장에 발맞춰 최근 국내 채용 플랫폼 최초로 AI 분야 전문 채용 서비스 ‘AI 잡스를 출시했다.

 

‘AI 잡스는 관련 직무 공고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채용 시장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하는 다양한 정보성 콘텐츠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