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순직인정 촉구”… 인천 특수교사 사망 6개월, 500명 추모 행진
▷비상대책위·시민 500명, 인천교육청 앞 검은 우산 거리행진… “진상조사 투명 공개하라”
▷ 유족·동료교사 “고통 외면한 교육청”… “특수교사 죽음, 더는 반복돼선 안 돼” 눈물의 호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4일, 인천시교육청 앞에서는 ‘인천 특수교사 사망 진상규명 및 순직인정 촉구 집회’가 열렸다. 마을공동체 인플러스, 인천교사노동조합, 인천장애인부모연대 등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공동 주최한 이번 집회에는 약 500여 명의 교사와 학부모, 시민들이 모여 뜻을 함께했다.
이날 행사는 강경욱 비상대책위원장의 사회로 ‘인천 시민 검은 우산 거리행진’으로 시작됐다. 참가자들은 모두 검은 옷을 입고, 검은 우산과 피켓을 들고 인천시교육청 주변을 1시간가량 행진하며 고인을 추모하고 진상규명·순직인정을 촉구했다. 이어진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고인의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과 교육청의 책임을 묻는 시간이 이어졌다.
동소희 인천실천교육교사모임 회장의 모두발언에 이어, 김광백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 사무국장이 투쟁경과를 보고했다. 현장 발언에 나선 탁정희 인천창영초 특수교사는 “과도한 업무 부담에도 겨우 법을 지키는 걸 ‘여건 개선’이라 자랑하는 현실에 현장은 허탈함을 느낀다”며 “인천 특수교육의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토로했다.
학산초 동료 교사들은 “교육청이 중시하는 사업이 교사와 학생의 생명보다 중요한가”라며, “고인은 수차례 지원을 요청했으나 외면받았다”고 비판했다.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종인 사무국장은 “진상규명엔 신속함, 투명함, 공정함이 기본이지만, 6개월이 지나도록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유족의 편지 대독 시간에는 집회 참석자 모두가 눈시울을 붉혔다. 고인의 어머니는 “아들이 힘들어할 때 더 쉬게 할 걸, 병원에 보내볼 걸 하는 후회만 남았다”며 “이 일이 계기가 되어 남아 있는 교사와 학생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생활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끝으로, 집회 참가자들은 투쟁 결의문을 낭독하며 ▲진상조사 과정 투명 공개 ▲조사 결과 즉시 제출 ▲특수교사 순직 인정 ▲특수교육 여건 개선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진실이 밝혀지고, 특수교사가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