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분기 전국 지가 0.50% 상승…상승폭은 둔화, 거래량은 감소세
▷서울·강남 등 수도권이 전국 상승세 주도…지방권과 인구감소지역은 저조
▷토지 거래량, 전 분기·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순수토지 거래도 줄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24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의 지가는 0.50%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 분기(0.56%)보다 0.06%p 줄었으나, 전년 동기(0.43%)보다는 0.07%p 확대됐다.
3월 지가변동률은 0.18%로 2월(0.16%)과 지난해 3월(0.17%)보다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66%)과 지방권(0.22%) 모두 전 분기 대비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서울(0.80%)과 경기(0.57%) 등 2개 시도가 전국 평균(0.50%)을 웃돌았다. 서울 강남구(1.30%), 용인 처인구(1.26%), 서울 서초구(1.16%) 등 수도권 주요 지역이 전국 상승세를 이끌었고, 전체 252개 시·군·구 중 51곳만이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의 1분기 지가변동률은 0.18%로, 비대상지역(0.52%)보다 0.34%p 낮았다. 최근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상승 전환 이후 25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거지역(0.55%)과 상업용(0.56%) 토지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전체토지 거래량은 43만3천 필지로 전 분기 대비 6.2%,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도 전 분기 대비 8.8%, 전년 동기 대비 11.5% 줄어든 15만 필지 수준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광주(26.6%), 세종(15.4%) 등 일부 지역(5개 시·도)을 제외한 대부분 시·도에서 거래량이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 역시 광주(105.7%)와 전남(1.7%)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다. 용도별로는 관리지역(-16.1%), 임야(-18.7%), 공업용(-27.5%) 토지 거래량의 감소폭이 컸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