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이은미 토뱅 대표 "치밀하게 계획해 내년 중 주담대 출시할 것"
▷발표 이후 기자들과 Q&A시간 가져
이은미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2025미디어데이'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과 Q&A시간을 가졌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이 대표는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2025미디어데이'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이번 기자감담회는 토스뱅크의 지난 성과를 되짚고 향후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 대표는 약 30분 동안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발표 이후 이 대표는 기자들과 Q&A시간을 가졌다. 다음은 이 대표와의 일문일답
Q.최근 주택담보대출과 관련해서 인력과 인프라 구축에 한창인 것을 확인했다. 내년 상반기 출시 전망이라는 보도가 있었는데 계획이 어떻게 되는가.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른 인터넷은행도 출범 5년 만에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했다. 주택담보대출은 한 번 나가면 30년 그 이상도 간다. 훨씬 더 꼼꼼하고 치밀하게 계획해야 하는 이유다. 토스뱅크는 내년 정도면 4년 반 정도 된다. 다른 인터넷 은행에 비해서도 그렇게 늦는 것은 아니라는 말씀드리고 싶다. 업데이트해드릴 시기가 오면 투명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Q.국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첫 흑자 달성 이후 2025년에도 지속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갈 수 있다고 전망하는가? 주요 성장 동력과 수익성 전략도 궁금하다.
기본적으로 지금까지 해 온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려고 하고 있다. 그것은 자본 적정성, 건정성과 같은 재무적인 안정성을 말한다.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생각 하고 있다. 다른 은행이나 다른 금융사와의 협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광주은행 외에도 다른 은행과도 혹시 또 기회가 있으면 계속해서 확대를 할 예정이다. 많은 금융사의 주식은 배당주로 본다면, 토스뱅크는 성장주라고 할 수 있다.(웃음) 수익을 가지고 계속해서 성장하는 데 있어서 재투자를 할 예정이다.
Q.토스가 미국 상장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현재 진행 상황이 어떻게 되는가. 토스뱅크도 IPO를 준비하고 있는가.
토스 IPO 잘 되길 바란다. 다만 계열사라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토스뱅크는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해 언젠가는 IPO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중장기 전략을 세우고 있고 혁신을 하는 동시에 또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계속해서 추구하고 있다. 현재 IPO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시기나 이런 부분들은 없다.
Q.해외 진출과 관련해 디테일을 좀 알려줄 수 있는가. 다양한 선진국과 그리고 개도국에 진출을 한다고 했는데 현재 좀 보고 있는 국가가 좀 어디인가.
현재 신흥시장과 선진시장 둘 다 보고 있다. 신흥시장은 성장 측면에서 기회가 있다. 선진시장은 금융시스템은 선진화돼 있지만 고객 경험은 선진화돼 있지 않다. 그래서 고객 경험 측면에서 저희가 할 수 있는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고 본다. 특정한 국가를 한정 짓지 않고 여러 나라를 같이 볼 예정이다.
Q.토스뱅크가 지금 토스 안에 이제 원웹으로 있다. 토스뱅크의 해외 진출은 토스와 같이 또 원웹 전략으로 가는지 따로 추진하는지 궁금하다.
토스와 같이 원앱으로 해외 진출을 하는 것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일 것 같다. 어쨌든 은행이기 때문에 토스뱅크는 규제 강도가 좀 더 셀 수 밖에 없다. 토스는 핀테크적인 면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같이 또는 따로 가야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상황에 맞는 그런 전략을 사실은 개별적으로는 보고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