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주4일제, 요점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

▷ 포스코경영연구원, '주 4일 근무제 도입,시간이 아니라 효율이 관건' 보고서
▷ 주4일제 관련 실험 대체로 성공적, 핵심은 '효율성'

입력 : 2023.12.22 13:58
"주4일제, 요점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대 대통령선거 당시, 정의당의 4대 주요공약 중 하나는 4일제, 신노동법이었습니다. 공약집에서 대한민국은 시간빈곤사회다. 4일제는 쉴권리, 휴식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넘어 불평등을 해소하는 정의로운 시간으로 가는 길이라며, 4일제가 먼 꿈 같은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52시간 근무제를 주 32시간으로 줄이고, 연차휴가를 25일로 늘리는 등의 파격적인 공약이 주목을 받았는데요. 다만, 경제적 불이익이 너무나 많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노동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하면, 그만큼 기업들이 손해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언론에서는 주4일제를 조명하며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 상황, 4일제 근무제 도입은 시간이 아니라 효율이 중요하다는 포스코경영연구원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조성일 포스코 전략컨설팅실 수석연구원은 4일 근무제의 성공요인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이라며, “줄어든 시간 분량만큼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 현재 만연하고 있는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전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53, 18시간씩 주6일 근무제(48시간)를 도입했습니다. 36년이 지난 1989년에 노동시간을 4시간 단축시켰고, 2003년에는 주40시간제가 도입되었습니다. 지금은 이르러 주 52시간제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정부는 기업들의 편익을 이유로 주52시간제를 유연하게 개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노동시간은 우리나라의 큰 이슈 중 한 가지로, 삼성전자가 지난 623일부터 교대근무 생산직을 제외한 직무에 대해 1회 주 4일 근무제를 시행하면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당월 필수 근무를 채우면, 월급날인 21일이 있는 주의 금요일에는 출근하지 않아도 되는 겁니다.


40시간 근로시간은 유지하되, 앞선 4일 동안 근무시간을 채우기만 하면 금요일을 쉬는 방식인데요. 뿐만 아니라,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20223월부터 매월 세 번째 금요일은 휴무일로 지정하고 있고, 카카오게임즈와 토스, 우아한형제들 등 IT 대기업들은 부분적으로 주4일제, 4.5일제를 채택한 상황입니다.


조 연구원은 4일 근무제 관련 실험은 대체로 긍정적 결과를 도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15~2019, 아이슬란드에서 진행된 실험에서는 임금 삭감 없는 주4일 근무가 근로자의 복지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스트레스, 번아웃, 건강, 워라밸 등 근로자의 웰빙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 값이 크게 개선되었다는 이야기인데요. 지난해 영국 기업들의 실험에서도 주4일제에 참여한 기업의 92%, 참여 근로자의 90%가 주4일 근무를 희망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당시 실험에 참여한 기업들은 전년 대비 매출이 평균 35%늘었으며, 이직률은 57% 감소했는데요.

 

물론, 모든 주4일제 실험이 성공한 건 아닙니다. 스페인 통신회사인 텔레포니카(Telefonica)202110, 희망자를 대상으로 주4일제를 실시했으나 결과적으론 실패했습니다. 4일제 근무자의 임금이 15% 삭감된 탓입니다. 직원 2만여 명 중 단 150만 명이 주4일 근무를 희망했는데요.


프랑스에서도 지난 1998년에 근무시간을 주 39시간에서 35시간으로 줄이고, 초과근무를 연간 130시간으로 제한하는 도입 실험에 실패했습니다. 당시 프랑스 직장인들의 주 평균 근무시간은 39.5시간으로 실험이 성공하지 못했고, 오히려 시간제 계약직만 늘어나는 악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조 연구원은 4일 근무제의 성공요인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이라며, 제도 도입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근로시간 단축이 생산성 하락으로 연결된다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5일 근무제 도입 당시에도 많은 우려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안정적으로 정착되었다,결국 주4일 근무제 성공여부는 시간이 아니라 효율성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조성일 포스코 전략컨설팅실 수석연구원 曰 줄어든 시간의 분량만큼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 현재 만연하고 있는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일하는 방식에 대한 혁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