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일제, 요점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
▷ 포스코경영연구원, '주 4일 근무제 도입,시간이 아니라 효율이 관건' 보고서
▷ 주4일제 관련 실험 대체로 성공적, 핵심은 '효율성'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대 대통령선거 당시, 정의당의 4대 주요공약 중 하나는 ‘주4일제, 신노동법’이었습니다. 공약집에서 “대한민국은 ‘시간빈곤’ 사회다. 주 4일제는 쉴권리, 휴식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넘어 불평등을 해소하는 ‘정의로운 시간’으로 가는 길”이라며, 주4일제가 “먼 꿈 같은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주52시간 근무제를 주 32시간으로 줄이고, 연차휴가를 25일로 늘리는 등의 파격적인 공약이 주목을 받았는데요. 다만, 경제적 불이익이 너무나 많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노동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하면, 그만큼 기업들이 손해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언론에서는 주4일제를 조명하며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 상황, 주4일제 근무제 도입은 시간이 아니라 효율이 중요하다는 포스코경영연구원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조성일 포스코 전략컨설팅실 수석연구원은 “주4일 근무제의 성공요인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이라며, “줄어든 시간 분량만큼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 현재 만연하고 있는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전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53년, 1일 8시간씩 주6일 근무제(주 48시간)를 도입했습니다. 36년이 지난 1989년에 노동시간을 4시간 단축시켰고, 2003년에는 주40시간제가 도입되었습니다. 지금은 이르러 주 52시간제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정부는 기업들의 편익을 이유로 주52시간제를 유연하게 개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노동시간은 우리나라의 큰 이슈 중 한 가지로, 삼성전자가 지난 6월 23일부터 교대근무 생산직을 제외한 직무에 대해 ‘월 1회 주 4일 근무제’를 시행하면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당월 필수 근무를 채우면, 월급날인 21일이 있는 주의 금요일에는 출근하지 않아도 되는 겁니다.
주40시간 근로시간은 유지하되, 앞선
4일 동안 근무시간을 채우기만 하면 금요일을 쉬는 방식인데요. 뿐만
아니라,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2022년
3월부터 매월 세 번째 금요일은 휴무일로 지정하고 있고, 카카오게임즈와
토스, 우아한형제들 등 IT 대기업들은 부분적으로 주4일제, 주4.5일제를 채택한
상황입니다.
조 연구원은 “주4일 근무제 관련 실험은 대체로 긍정적 결과를 도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15년~2019년, 아이슬란드에서 진행된 실험에서는 임금 삭감 없는 주4일 근무가 근로자의 복지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스트레스, 번아웃, 건강, 워라밸 등 근로자의 웰빙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 값이 크게 개선되었다는 이야기인데요. 지난해 영국 기업들의 실험에서도 주4일제에 참여한 기업의 92%, 참여 근로자의 90%가 주4일 근무를 희망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당시 실험에 참여한 기업들은 전년 대비 매출이 평균 35%늘었으며, 이직률은 57% 감소했는데요.
물론, 모든 주4일제 실험이 성공한 건 아닙니다. 스페인 통신회사인 텔레포니카(Telefonica)는 2021년 10월, 희망자를 대상으로 주4일제를 실시했으나 결과적으론 실패했습니다. 주4일제 근무자의 임금이 15% 삭감된 탓입니다. 직원 2만여 명 중 단 150만 명이 주4일 근무를 희망했는데요.
프랑스에서도 지난 1998년에 근무시간을 주 39시간에서 35시간으로 줄이고, 초과근무를 연간 130시간으로 제한하는 도입 실험에 실패했습니다. 당시 프랑스 직장인들의
주 평균 근무시간은 39.5시간으로 실험이 성공하지 못했고, 오히려
시간제 계약직만 늘어나는 악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조 연구원은 “주 4일 근무제의 성공요인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이라며, “제도 도입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근로시간 단축이 생산성 하락으로 연결된다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주5일 근무제 도입 당시에도 많은 우려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안정적으로 정착되었다”며, “결국 주4일 근무제 성공여부는 시간이 아니라 효율성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조성일 포스코 전략컨설팅실 수석연구원 曰 “줄어든 시간의 분량만큼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 현재 만연하고 있는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일하는 방식에 대한 혁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