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테슬라 등 13개 차종 72,624대 리콜... 오토파일럿 등에서 결함 발견

▷ 테슬라 63,991대 리콜... 오토파일럿 시스템에 문제 있어
▷ 현대 G80, GV70은 드라이브샤프트 결함, 한국닛산 알티마는 후방카메라 배선 설계 오류 등

입력 : 2024.01.04 10:53 수정 : 2024.01.04 10:59
테슬라 등 13개 차종 72,624대 리콜... 오토파일럿 등에서 결함 발견 테슬라 차량 (출처 = 국토교통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테슬라코리아(), 현대자동차㈜, 포드세일즈 서비스코리아(), 한국닛산㈜, 기아㈜, 혼다코리아㈜가 다루고 있는 13개 차종 72,624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인 리콜에 돌입합니다.

 

테슬라의 경우, 모델 Y 등 차종 4, 총 63,991대에서 오토파일럿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오토파일럿이란, 차량을 자동으로 가속 및 제동, 조향(자동차의 운전방향 조절)할 수 있게 도와주는 주행 보조장치입니다.

 

테슬라의 모델Y, X, S,3에 탑재된 오토파일럿은 사용 시 운전자에게 충분한 경고음을 주지 않아 안전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발생한 겁니다. 뿐만 아니라, 모델XS는 차량 문잠금 제어장치 소프트웨어에 오류가 있어 충돌했을 경우 문잠금 기능이 해제되는 등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는데요.

  

(출처 = 국토교통부)

 

 

테슬라의 차종에서 오토파일럿과 관련된 문제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민감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비영리 소비자단체 Consumer Reports(CR)에서 안전 정책 부국장을 맡고 있는 윌리엄 월리스(William Wallace)CNN을 통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차종 리콜 조치에 안심할 수 없다”(“Tesla’s response to auto recall isn’t reassuring”)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그는 CR에 소속된 전문가들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기능을 평가해봤는데, 불행하게도, 소프트웨어의 오류나 운전자의 실수를 예방할 수 있을 정도로 고쳐지지 않았다”(“Unfortunately, our experts’ preliminary evaluation suggests the fix is insufficient, with the software not going far enough to prevent misuse or driver inattention”)고 이야기했습니다.

 

가령,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가리거나 운전자가 도로를 쳐다보지 않아도 오토파일럿 시스템은 계속해서 작동했습니다.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운전자의 존재 없이도 작동하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건데요.

 

더군다나, 월리스 부국장은 “CR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오토파일럿 시스템은 2023년 테슬라 모델 차량 절반 이상에서 사용이 가능한데, 필요한 안전장치를 갖춘 차량은 거의 없다”(“According to CR’s most recent data, active driving assistance systems are available on more than half of 2023 model-year vehicles, and few come with the safeguards they need”)며 우려했습니다. 오토파일럿 시스템으로 인해 테슬라가 리콜을 진행한다고 해도, 과연 결함이 제대로 고쳐질 것인가 하는 의문점도 제기했는데요.

 

윌리엄 월리스 CR 안전 정책 부국장 曰 만약 테슬라가 전문가의 추천으로 인해 리콜을 몇 년 동안 시행하고 효과가 없는 해결방안을 내놓는다면, 자동차가 안전하고 결함이 없도록 설계되었다고 소비자들이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How can people trust that their cars are designed to be safe and free of defects if a company under scrutiny takes years to carry out a recall recommended by safety experts — and then provides a remedy that might not actually fix the problem?”)

 

한편, 현대자동차의 경우 G80GV70 차종의 뒷바퀴 드라이브샤프트에서 결함이 발견되었습니다. 드라이브샤프트는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인데, 이 부분에 용접불량이 생겨 주행 중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있다는 게 리콜의 주된 이유입니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의 머스탱은 브레이크액 센서 오류로 브레이크액 부족 시 경고등이 정상 작동되지 않는 결함이 발견되었고, 한국닛산의 알티마는 후방카메라에 배선 설계 오류가 있어 화면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기아의 셀토스의 경우, 커튼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제조불량으로 내부에 가스가 새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혼다코리아의 오딧세이는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은 크랭크축이 베어링을 손상시켜 주행중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을 고치기 위해서 각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연락할 예정이며, 결함을 고치기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을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