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에도 환율 1,400원 대를 상회할 것"
▷ KDB 미래전략연구소, '국제금융시장 2월 동향 및 3월 전망'
▷ 무역수지 적자에 트럼프發 관세정책 우려에 영향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3월에도 환율이 1,400원 대를 상회할 것이라는 경제계 예측이 나왔다. KDB 미래전략연구소 미래전략개발부는 '국제금융시장 2월 동향 및 3월 전망'을 통해, "2월 원달러 환율은 대외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된 가운데, 엔화 강세에 원화가 동조화되며 하락, 3월은 무역적자 등의 요인으로 여전히 1,400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의 원달러 환율은 러-우 종전협정 개시와 트럼프 정부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유예 등에 따른 강달러 완화와 엔화 강세에 대한 원화의 동조화로 하락했다. 올해 초 1,500원 대에 근접했던 환율은 2월에 들어서 1,400원 대 초반까지 하락한 바 있다. 다만, 3월의 원달러 환율은 무역수지가 지난 1월 18.98억 달러 적자로 돌아섰고, 국내 정치의 불안정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트럼프發 관세정책 확대 우려 등으로 1,400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등락한다는 전망이다.
KDB 미래전략연구소는 3월의 미국 금리는 고물가 경계에 따른 보합세를 예상했다. 일본은 연속 금리 상승 인상 가능성으로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유로존은 금리인하 사이클이 계속된다는 전망이 강해 하방압력이 우세하다는 전망이다.
지난 2월 주요국의 증권시장은 복합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국과 일본은 부진한 반면, 유로존의 주가는 상승했다. 미국의 경우,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을 경계하며 등락을 거듭한 후 고물가와 소비 둔화 우려로 하락한 바 있다. 일본은 엔화 강세와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주가가 하락했다. 유로존은 러우 종전협정의 개시에 수혜를 입었다.
연구소는 3월 주요국 주가는 양호한 흐름을 예상하면서도, 트럼프發 관세장벽 확대 가능성, 미국 고물가에 따른 연준의 금리인하 지연, 일본은행의 금리인상 지속 등을 조정요인으로 제시했다.
한편, 오는 3월 18일에는 미 연방준비제도의 FOMC가 예정되어 있다. 연구소는 "높은 물가상승률 등으로 금융시장에서는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하나, 서비스업 PMI 하락, 소비심리 악화 등 소비 둔화 우려로 점도표 변화 등 향후 정책경로에 대한 연준의 입장이 주목받을 전망"이라고 설명헀다. 일본과 유로존 중앙은행의 회의도 예정되어 있는데, 유로존의 경우 동결 전망이 우세하고 일본은 연속 금리인상 가능성이 대두하고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