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도 높은 '금' 가격... 이유는 뭘까
▷ 조유나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원, '금 가격 상승 원인 분석 및 전망'
▷ 공급비용이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 수요도 함께 늘어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실물자산 중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건 '금'이다. 지난해 2월말 기준, 1돈에 37만 원이었던 국내 금 시세는 1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뛰었고, 각국 정부까지도 금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이한 점은 최근 금 가격의 상승이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금 가격은 일반적으로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 금리가 상승하면 현금의 가치도 함께 증가하기에 금은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위치에 놓인다. 금을 쌓아놓는다고 해서 현금처럼 이자비용을 얻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최근의 고금리 및 强달러 환경에서 금 가격은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유나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금 가격 상승 원인 분석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생산비 증가 등 공급측면 △달러보유 헤지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금 매입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금리의 영향력이 감소한 것을 원인으로 제시했다.
우선, 금 제련에 필요한 인건비와 에너지 비용은 물론 금광 회사에 자본금을 지원하고 높은 수준의 수익금을 수취하는 로열티 비용 등이 증가하면서 금의 전체 생산비가 지속 증가했다. 세계 금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트로이온스당 1,272달러에 머물던 금 생산비는 지난해 1,428달러까지 늘어났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해외 달러자금이 묶이는 상황을 전세계가 목격, 달러 보유 위험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각국의 인식이 확산되었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난 2022년부터 매년 1,000톤 이상의 금을 매입해 축적하기 시작했고, 이는 2010~2021년 간 평균 매입량인 473톤의 2배 이상 규모이다. 조 연구원은 "특히, 중국이 미국 채권을 팔고 금 보유량을 크게 늘리면서 금 수요가 폭증했다"고 분석했다.
경제적 불확실성도 금 가격 상승에 한 몫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로 인한 글로벌 무역분쟁 및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하면서, 안전자산인 금의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물가를 자극, 인플레이션 재상승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 투자의 매력도도 함께 올라갔다.
조 연구원은 앞으로도 국제 금 가격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중앙은행 금 매입 수요가 여전하고, 글로벌 투자자들 역시 금에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금 가격의 경우, 글로벌 수급요인에 대해 환율상승 영향 및 세제혜택으로 인한 자산증대 효과까지 부각되면서 당분간 고공행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