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도 높은 '금' 가격... 이유는 뭘까
▷ 조유나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원, '금 가격 상승 원인 분석 및 전망'
▷ 공급비용이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 수요도 함께 늘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실물자산 중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건 '금'이다. 지난해 2월말 기준, 1돈에 37만 원이었던 국내 금 시세는 1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뛰었고, 각국 정부까지도 금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이한 점은 최근 금 가격의 상승이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금 가격은 일반적으로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 금리가 상승하면 현금의 가치도 함께 증가하기에 금은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위치에 놓인다. 금을 쌓아놓는다고 해서 현금처럼 이자비용을 얻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최근의 고금리 및 强달러 환경에서 금 가격은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유나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금 가격 상승 원인 분석 및 전망' 보고서를 통해, △생산비 증가 등 공급측면 △달러보유 헤지 △글로벌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금 매입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금리의 영향력이 감소한 것을 원인으로 제시했다.
우선, 금 제련에 필요한 인건비와 에너지 비용은 물론 금광 회사에 자본금을 지원하고 높은 수준의 수익금을 수취하는 로열티 비용 등이 증가하면서 금의 전체 생산비가 지속 증가했다. 세계 금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트로이온스당 1,272달러에 머물던 금 생산비는 지난해 1,428달러까지 늘어났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해외 달러자금이 묶이는 상황을 전세계가 목격, 달러 보유 위험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각국의 인식이 확산되었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난 2022년부터 매년 1,000톤 이상의 금을 매입해 축적하기 시작했고, 이는 2010~2021년 간 평균 매입량인 473톤의 2배 이상 규모이다. 조 연구원은 "특히, 중국이 미국 채권을 팔고 금 보유량을 크게 늘리면서 금 수요가 폭증했다"고 분석했다.
경제적 불확실성도 금 가격 상승에 한 몫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로 인한 글로벌 무역분쟁 및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하면서, 안전자산인 금의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물가를 자극, 인플레이션 재상승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 투자의 매력도도 함께 올라갔다.
조 연구원은 앞으로도 국제 금 가격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중앙은행 금 매입 수요가 여전하고, 글로벌 투자자들 역시 금에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금 가격의 경우, 글로벌 수급요인에 대해 환율상승 영향 및 세제혜택으로 인한 자산증대 효과까지 부각되면서 당분간 고공행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