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원화 약세 흐름…이유와 전망은?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더해 무역수지 적자 등이 원인
▷4월 이후 원화 강세 전망..."미 기준금리 기대치 추가 하락 예상"

입력 : 2023.04.19 16:26 수정 : 2023.04.19 16:35
원화 약세 흐름…이유와 전망은? 출처=한국은행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최근 달러화 약세에도 원달러 환율이 오르는 등 원화 약세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에 더해 무역수지 적자 등이 원인이라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은 19금융경제 이슈 분석에 실린 최근 환율 변동성과 변화율의 국제비교 및 요인 분석보고서에 올해 2월 중 원화 환율 변화율이 다른 통화 평균치를 두 배 이상 상회하면서 표본국가 34개국 중 가장 높은 변화율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2월 달러 대비 원화는 7.4% 절하됐습니다. 34개국 평균치인 3% 절하를 두배 이상 웃도는 수치입니다.

 

한은은 최근 원화의 환율 변화율이 유로존 재정위기, 중 무역분쟁과 같은 글로벌 이벤트 기간 중 대부분 국가의 환율 변화율보다는 하회했지만 최근 들어 원화 변동성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은이 실증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원화 변동성 확대에는 미국의 통화 긴축 불확실성과 함께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등 국내요인도 기여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실제 최근 무역수지가 악화한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2월 중 상대적으로 큰 폭의 통화가치 절하를 경험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4월 이후 가파른 강세 구간으로 진입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미 기준금리에 대한 기대치가 추가로 하락하면 원∙달러 환율도 빠르게 되돌려질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기대치가 추가로 하락하면 환율도 빠르게 되돌려질 가능성이 높으며 2분기 원화 강세의 다른 요인은 중국 경제지표의 회복 가능성이라며 “3월 이후 리오프닝(경재활동 재개)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중국 경제 성장률이 반등함에 따라 원화는 강제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어 장 연구원은 미국 통화 정책도 원화 강세에 영향을 줄 것으로 봤습니다. 그는5월 초에는 미 연준 통화정책 결정이 예정돼 있다현재 시장 분위기는 5월 금리 인상을 마지막으로 연준의 이번 금리인상 사이클은 마무리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데 이는 향후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시장 기대치 하락이 더 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5월 배당금 지출 요인이 소멸하고 미국 기준 금리에 대한 기대치가 추가로 하락하면 원·달러 환율도 빠르게 되돌려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