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수출입 물가 동반 상승... 환율에 영향 받아
▷ 상승폭 수입 물가가 수출 물가보다 커
▷ 시스템 반도체 수출 물가 눈에 띄게 하락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월 수출입 물가가 1월 대비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원화 기준 2023년 2월 우리나라의 수출 물가는 전월대비 0.7% 상승했고, 수입물가는 2.1% 올랐습니다.
양 지표 모두 지난해 2월과 비교해보면, 각각 2.7%, 0.5% 떨어졌는데요. 즉, 지난달 대비 수출입 물가가 동시에 오르면서 수입물가가 수출물가를 상회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오른 환율, 물가를 기반으로 1월달 보다 비싸게 팔아도, 그보다 더 비싸게 물건을 수입하는 셈입니다. 수출 물가를 제친 수입 물가의 상승폭은 지난 2월의 무역수지 적자(-53억 달러)에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월 대비 수출 물가의 상승을 견인한 건 화학제품, 운송장비, 제1차 금속제품 등 공산품입니다. 원화기준 화학제품이 2.6%, 전기장비가 2.1%, 섬유 및 가죽제품이 1.9% 등의 오름세를 보였는데요. 반면, 석탄 및 석유제품의 수출 물가는 4.6%의 감소폭을 보였습니다.
제트유와 경유, 정제혼합용원료유 등의 수출 물가가 떨어졌기 때문인데요. 농림수산품 역시 전월 대비 2.9% 하락했습니다.
눈 여겨볼 부분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의 수출 물가가 전월 대비 전체적으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시스템반도체’는 그렇지 않다는 점입니다. 시스템 반도체의 수출 물가는 전월 대비 3.5% 떨어졌습니다. 최근 국내 반도체 수출이 깊은 침체에 빠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긍정적으로 해석하기가 어려운 지표입니다.
2023년 2월 수입물가의 경우, 전월대비 2.1%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원재료와 중간재, 자본재 및 소비재 모두 오름세로 나타났습니다. 수출 물가가 떨어졌던 농림수산품의 수입 물가는 반대로 증가했으며,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등 대부분의 품목 수입 물가가 올랐는데요.
품목 별로 살펴봤을 때 수입 물가가 감소한 건 천연가스, DRAM, 친환경자동차 등이 있습니다.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의 상승을 견인한 근본적인 요소는 ‘원달러 환율’입니다. 지난 1월 평균 환율은 1,247.25원이었으나 2월엔 1,270.74원으로 전월 대비 1.9% 올랐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로 따지면 6.0% 상승한 셈인데요.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에 영향을 받아 하락하고 있던 환율이 2월 들어서서 상승세로 반전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은 ‘2023년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금년 1월 들어서는 중국 경기회복 기대 및 외국인의 국내주식 매입 등으로 하락세를 지속하여 2월 2일 1229.3원까지 하락하였다. 이후 예상을 상회한 미국 고용 및 물가 지표 발표 등으로 미 연준 긴축지속 우려가 재부각됨에 따라 2월 하순 들어 1,300원을 다소 웃도는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지난해 꾸준한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물가지수, 실업률
등 경제지표가 예상과 다르게 나타나자 금리 인상 기조를 다시금 재확인한 바 있습니다. 연준이 금리 인상을
또 다시 감행할 것이란 우려에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고 이것이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친 셈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