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언론의 기계적 중립이 극우 키워"
▷ "언론사 가리지 않는 테러는 최초"
▷ 조직적 폭동 의혹도..."방송용 카메라 메모리 위치 정확히 알고 노려"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나준영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MBC 기자)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서부지법 폭동사태 관련 긴급토론회'에서 "공중파나 허가받은 방송사들이 기계적 중립만을 요구받아온 것이 문제"라며 "민주적 질서와 공화정을 유지하는 데 맞는 보도와, 이에 반하는 행위를 동등하게 다뤄온 관행이 이런 사태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건국된 이래로 집회 취재 현장에서 영상기자나 사진기자들이 안전하게 취재할 수 있었던 것은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이 정한 언론의 자유를 시민들이 동의하고 지켜주려 했던 문화와 질서, 합의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런 것들이 한꺼번에 파괴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법원 폭동 현장에서 발생한 전례 없는 언론인 피해 상황도 전했다. "이번처럼 단일 현장에서 특정 회사를 가리지 않고 방송사 취재진에게 위협을 가하고 폭력을 행사하며 기물을 탈취하는 사건은 30년 취재 생활에서 처음"이라며 "현재 영상기자 4명과 오디오맨 4명 등 8명이 심각한 물리적·정신적 피해를 입었고, 연합뉴스 사진기자와 유튜버 1명도 폭행을 당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폭력이 조직적으로 이뤄졌다는 점도 강조했다. "폭력이 있기 전에 먼저 공중파 소속인지, 어느 매체 소속인지 선별하고 체크하는 작업이 있었다"며 "일반인들이 다루기 어려운 이엔지(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의 메모리 카드를 정확히 노려 탈취했다"고 설명했다.
나 회장은 초기 보도의 문제점도 구체적으로 짚었다. "폭력에 의해서 법원이 침탈을 당하고 그 안에 판사들까지 위협을 당하고 있는 상황인데도 유튜버나 현장에서 어렵게 취재한 영상들을 전부 다 블러 처리했다"며 "이는 폭력이 일어나는 상황을 한 겹 가림으로써 보는 사람들이 그 심각성에서 감정적으로 멀어지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나 회장은 이런 취재 방해가 역사 기록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법원 주변에서부터 취재 자체가 봉쇄됐다"며 "어제만 해도 대통령이 헌재에 출석했을 때 대부분의 취재진이 동덕여대 빌딩에서 멀리서 촬영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2021년 미국 의사당 폭동 후 미국 언론계가 만든 보도 가이드라인을 언급하며 해법을 제시했다. 한국 언론도 "민주주의에 합당한지를 프레임으로 적용해 판단하고, 민주적 제도와 규범을 강조한 틀에서 보도해야 한다"며 "특히 가짜·거짓 주장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고, 반민주적 행동과 정치적 폭력의 맥락을 정확히 짚어 진상 규명과 처벌이 이뤄지도록 하는 보도 원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이번에 상폐냐, 회생이냐의 기로에 서 있는 이화그룹내 이 아이디 주주입니다. 김영준 회장의 횡령 배임으로 인해 불거진 장중 재개후 재정지 사태로 개인의 생명줄 같던 자금이 동결돼 버리고 하루 하루 칼날위에 서서 칼춤 추듯 힘겨운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는 사람입니다. 제발, 상법개정으로 혹시 하나 회사가 상폐되더라도 소액주주도 상폐원인을 알수 있게 공개해줘서 이유라도 알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사회의 이슈중에 민주주의란 말이 많이 나오죠? 민주주의를 외치는 나라에서 국민의 생명줄 같은 돈을 강도질 당하는데 이유도 모른채 강탈 당한다면, 국민의 대표로 의정활동을 하시고 있는 여러 의원님들은 과연 민주주의를 성실히 실천하고 있다고 할수 있을까요? 의원님께서 제발 힘써 주셔서 제가 죽을때 억울함은 없도록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개인주주의 자산 피해를 더이상 외면하지 말아주세요 배임 횡령으로 역울한 자산 피해를 막아주세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간절히 지지합니다
3상법개정시 너무나 많은 긍정효과들이 있는 만큼 신속히 개정돼야 합니다. 반대하는자들이야알로 기득권을 내놓지 않으려는자, 부정.부도덕한 자들이 아니고서야.. 이화그룹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이되는그날까지 가열차게 나아갈 것입니다
4이화그룹주주연대에서 이정원기자님 응원합니다 상법개정은 꼭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상폐제도는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배임횡령액분리나 상폐사유공개의무화등입니다
5이정원기자님 감사합니다. 이화그룹주주들의 소망하는 상법개정 꼭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6상법개정의 찬성합니다.
7이화그룹주주연대 소액주주들을 위한 상법개정이 시급합니다 소액주주들은 다죽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