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환경부가 국내 녹색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총 4,600억 원 규모의 융자를 지원한다.
지난 12일,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기업 전반의 녹색전환 활성화를 위해 총 4,600억 규모의 미래환경산업육성 융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400억 원 증가한 지원 금액으로, 중소환경기업 육성 및 기업 녹색시설 설치 등에 필요한 자금을 장기(5~10년) 저리(2025년 1분기 기준 1~1.61%)로 지원한다.
지원 분야는 환경산업 분야와 녹색전환 분야로, 각각 2,000억 원, 2,600억 원이 지원된다. 환경산업 분야의 경우 중소 및 중견 환경기업의 시설 설치나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녹색전환 분야는 중소, 중견기업의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방지시설 설치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사업자 별 지원규모는 최소 1억 원에서 최대 300억 원이다. 환경산업체 육성에 2,000억 원, 일반산업체 오염방지 시설 1,400억 원, 온실가스 배출저감에 1,200억 원을 투입한다. 이 중, 오염방지시설자금은 고정금리로 설정되어 있다.
환경부는 "특히, 올해는 중소기업의 저탄소, 녹색설비 설치 유도를 위해 녹색전환 분야 지원규모를 작년 대비 600억 원 증액하고, 이중 환경오염방지시설 자금의 경우 대규모 환경 오염방지시설 설치 수요를 고려하여 지원한도를 기존 100억 원에서 300억 원으로 상향했다"고 전했다.
융자금 신청을 희망하는 중소, 중견기업은 오는 2월 3일부터 14일까지 에코스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융자신청서를 작성하면 된다. 심사를 거쳐 융자 승인 및 자금 지급 등이 이루어진다.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曰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환경기업 뿐만 아니라 녹색전환을 준비 중인 모든 중소, 중견기업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이번에 상폐냐, 회생이냐의 기로에 서 있는 이화그룹내 이 아이디 주주입니다. 김영준 회장의 횡령 배임으로 인해 불거진 장중 재개후 재정지 사태로 개인의 생명줄 같던 자금이 동결돼 버리고 하루 하루 칼날위에 서서 칼춤 추듯 힘겨운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는 사람입니다. 제발, 상법개정으로 혹시 하나 회사가 상폐되더라도 소액주주도 상폐원인을 알수 있게 공개해줘서 이유라도 알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사회의 이슈중에 민주주의란 말이 많이 나오죠? 민주주의를 외치는 나라에서 국민의 생명줄 같은 돈을 강도질 당하는데 이유도 모른채 강탈 당한다면, 국민의 대표로 의정활동을 하시고 있는 여러 의원님들은 과연 민주주의를 성실히 실천하고 있다고 할수 있을까요? 의원님께서 제발 힘써 주셔서 제가 죽을때 억울함은 없도록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개인주주의 자산 피해를 더이상 외면하지 말아주세요 배임 횡령으로 역울한 자산 피해를 막아주세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간절히 지지합니다
3상법개정시 너무나 많은 긍정효과들이 있는 만큼 신속히 개정돼야 합니다. 반대하는자들이야알로 기득권을 내놓지 않으려는자, 부정.부도덕한 자들이 아니고서야.. 이화그룹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이되는그날까지 가열차게 나아갈 것입니다
4이화그룹주주연대에서 이정원기자님 응원합니다 상법개정은 꼭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상폐제도는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배임횡령액분리나 상폐사유공개의무화등입니다
5이정원기자님 감사합니다. 이화그룹주주들의 소망하는 상법개정 꼭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6상법개정의 찬성합니다.
7이화그룹주주연대 소액주주들을 위한 상법개정이 시급합니다 소액주주들은 다죽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