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건강뿐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대책은?
▶9일 국회 의원회관서 ‘비만법 제정 및 비만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토론회’ 개최
▶이준혁, “비만에 대한 사회적으로 부정확한 인식 개선 필요”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비만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비만법
제정 및 비만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제를 진행한 이준혁 을지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2023년 세계비만연맹(World Obesity Federation)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적으로 BMI 25 이상에
해당하는 인구는 26억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약 2조 달러로 전 세계 GDP 2.4%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어 “2035년에는 과체중·비만 인구가 40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4조 달러 이상으로 서계 GDP 2.9%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교수는 비만을 겪는 사람의 경우, 신체적·정신적 질환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고 치료비 지출 또한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이 교수는 “비만은 심혈계질환, 대사질환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등 정신적인 문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며 “미국 의료비 지출
자료에 따르면 일반 체중을 갖고 있는 사람에 비해 과체중과 비만인 사람이 천식이나 당뇨병에 의한 지출 비용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경우,
2020년 자료에 따르면 헬스케어에 대한 경제적 비용이 BMI 25 이상 기준으로 8.6조 원 정도로 추정되며, 고용이나 건강 부담 등을 모두 합칠
경우에는 33조가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라며
“이 같은 추세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며, 2035년에는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해 경제적 비용은 3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 교수는 사회적 요인이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는 한편, 비만에
대한 사회적으로 부정확한 인식 개선에 대한 국가 차원의 노력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비만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직업별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남성보다는 여성이 비만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다만,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어 대한비만학회는 비만과 연관된 유전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에는 비만 관리를 주로 개인의 영역으로 인식했지만, 성별, 연령별, 지역별, 교육수준별, 소득수준별로 비만 유병률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근거가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라며 “비만
치료의 현황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구축과 비만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