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현, “韓 증시는 불신의 늪 한가운데…주주 보호 위한 해결책 마련해야”
▷김현, 이화그룹 주주연대 대표 인터뷰
▷"주주 보호 위한 법적 장치 필요"
![[인터뷰] 김현, “韓 증시는 불신의 늪 한가운데…주주 보호 위한 해결책 마련해야”](/upload/806e3ec6aa9e460da5149c7e345d21e6.jpg)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현재 대한민국 주식 시장에는 주주들의 목소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이에 국가가 국민의 권리를 헌법으로 보장하듯이 주주들이 보호받을 수 있는 주식 시장의 헌법인 이른바 상법 개정이 필요하다”
김현 이화그룹 주주연대 대표는 지난 17일 위즈경제와 인터뷰에서 이
같이 설명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소액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상법 개정안’을 연내 처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민주당의 ‘상법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까지 확대 ▲집중투표제 의무화 ▲감사위원 분리선임 확대 ▲권고적 주주제안 허용 ▲전자투표제 의무화 등 다섯 가지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대표는 “맨 처음 나의 문제로 시작했던 주주연대 활동이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투자자들의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됐고, 이는 시스템 자체가 바뀌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는 문제다”라며 “지금 이 순간에도
투자자의 권리를 위협하는 수많은 거래 정지 종목이 있고 횡령·배임 등 기업 오너의 부조리로 인한 범죄 행위 역시 매년 벌어지며, 무고한 피해자를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처럼 회사의 이익과 주주의 이익을 동일시
여기지 않는 국내 주식 생태계에서 주주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법 개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현, “기업 경영진의
부조리로 인한 주주들의 피해 회복 활동에 박차”
김 대표는 김영준 이화그룹 전 회장의 횡령·배임으로 인해 자산을 동결 당한 약 30만명의 피해주주들의 재산권 회복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이화그룹 3사(이트론·이아이디·이화전기)는 지난해 5월 11일
경영진의 횡령 및 배임 혐의가 드러나면서 한국거래소에 의해 1차 거래정지를 당했지만, 다음 날인 12일 사측의 공시를 근거로 거래를 재개했다.
하지만 공시 내용이 횡령 금액 규모와 다르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또 다시 거래가 정지됐다.
김 대표는 “지난해 5월 12일, ‘거래재개 당일, 장중
재정지’라는 한국 증시 사상 초유의 사태가 야기됐다”면서
“이화그룹 3사의 주식은 2차 거래정지를 당했고 30만에 이르는 시민들의 자산이 동결당했다”고 밝혔다.
그는 “개인 투자자로서의 권리 회복과 자산을 찾아 빼앗긴
일상으로 돌아가자는 목표 아래 ‘이화그룹 주주연대’를 만들었고, 소액주주 플랫폼인 ‘액트’와
협력으로 개인 투자자 간의 ‘공동보유계약’ 및 ‘주식대량보유보고’ 공시를 통해 이화그룹 3사 대주주의 지위를 공식화하며, 이사회에 대한 견제와 감시를 통한
회사 정상화와 거래재개를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후진적 증시 환경과 시스템의 모순으로 소중한
자산을 동결당한 30만 시민과 피해주주들의 자발적 결사체인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대한민국 증권시장에서 소외된 개인 투자자들의 연대이자, 표상으로
자리잡았다”라며 “현재는 이화그룹
피해주주들의 재산권 회복과 더불어 상법 개정 및 거래정지·상장폐지 제도의 개선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개미’라는 단어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부른다?”
김 대표는 소액 투자자를 통용하는 ‘개미’라는 단어가 개인 투자자들의 권리를 제한하고 국내 주식 시장을 이탈하게 되는 원인이라고 밝히면서 이는 곧 ‘코리아 디스카운트’까지 야기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푼돈’, ‘액수가 적음’ 등을 의미하는 이른바 ‘개미’라는 멸시하기 좋은 말들이 이미 한국 사회에 내면화돼 있어 개인투자자들에게
스스로의 권리를 내려놓게 하는 외적인 억압 기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라며 “여기에 대주주나 이사회의 반사회적 범죄행위를 막을 수 있는 사전적·사후적 시스템의 부재, 소수의 범죄로 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이 재산권이 침해당해도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장치가 전무하다는 게 한국
증시의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인 투자자들의 보편적 믿음과 상식을 배반하는
환경, 국내에 있는 1400만 개인 투자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이 투자자들에게 국내 증시에 대한 불신을 만들고 있으며, 국가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수많은 투자자들이 대거 해외로 나가게 되는 현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또 내실이 튼튼하지 않은 국가에 투자하는 해외 자본은 없으며, 이는
스스로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부추기는 꼴이다”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증시 부양을 위해선 ‘이것’ 필요
김 대표는“대기업 주도의 경제발전, 특정 기업의 이익이 사회 전체의 이익과 동일시되던 시대는 지났다”라며
“개인 투자자가 없는 주식 시장은 존재할 수 없으며, 소액
주주가 없는 상장 주식 회사 역시 존재할 수 없다. ‘우리’가
아닌 ‘그들’만이 남은 한국 증시를 과연 얼마나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국내 증시 환경의 불공정성으로 인한 사회
전체의 이익과 효용성이 감소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라며 “개인 투자자들의 합리적인 요구를 수용하는 사회적 탄력성과 이를 견인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함께 마련됐을 때
한국 증시는 비로소 증시 부양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