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증시 다트] 아시아나 인수 마무리한 대한항공, 향후 방향은?

▷대한항공,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 2026년 그룹사 합병 목표, 주주 환원 정책 연장 등

입력 : 2024.12.20 23:59 수정 : 2024.12.21 00:00
[증시 다트] 아시아나 인수 마무리한 대한항공, 향후 방향은?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일, 대한항공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장기간에 걸친 아시아나 항공 인수를 마무리지은 만큼, 향후 기업이 나아갈 방향성을 투자자들에게 알리겠다는 취지다.

 

2023년 대한항공의 매출액은 16조 1,118억 원, 영업이익은 1조 7,901억 원으로 나타났다. 순 금융부채가 축소되어 부채비율이 개선되었다.

 

순자산총계는 30조 3,918억 원으로, 항공기 보유대수가 159대, 총 1,977만 명의 여객을 수송했으며 화물 수송은 147만 톤이 이루어졌다.

 

대한항공 전망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여객수요는 약 10.4%, 2025년에는 약 8.0%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20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20%, 이중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연평균 5.3% 성장이 글로벌 항공여객수요 성장을 견인할 것이란 예상이다.

 

여기에 중국발 전자상거래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화물 운송이 우수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고, 해상 화물 운송 수요가 항공으로 전환되며 실적 호조세가 계속되고 있다.

 

아울러,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지분 인수 완료 후 약 2년간의 자회사 단계를 거쳐, 단일 항공사로 출범 예정"이라며, "소비자 편익 향상 및 시너지 창출 측면에서의 통합계획 검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 인수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창출하고, 항공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대한항공은 향후 회사의 방향성으로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했다. 2026년을 목표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그룹사 합병을 완료하고, 주주환원 정책을 연장하며,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분기 실적발표회와 애널리스트 간담회 등 정기 소통은 물론, 수시 소통을 확대하여 투자자 신뢰도를 증가시키겠다고 덧붙였다.

 

대한항공은 항공업계를 주름 잡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으나, 최근 국내 증권시장이 전방위적으로 흔들리면서 주가엔 타격을 받았다. 지난 20일 종가 기준 대한항공의 주가는 23,500원으로 지난 1개월 사이 4.08%가 하락했다.

 

증권업계에선 대한항공에 대해 "불안한 정국을 감안하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양지환, 이지니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12.3 계엄 및 대통령 탄핵, 그리고 미 FOMC의 매파적 발언 등으로 환율이 치솟고 있지만, 예상보다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여객 수요는 견조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 노선에서 공급 대비 수요 회복이 더디고, 아시아나 항공 인수에 따른 특별 상여금 지급으로 2024년 4분기 대한항공의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올해 4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액 4.5조 원, 영업이익 4,552억 원으로 전망했다. 

 

양지환 및 이지니 대신증권 애널리스트 曰 "불안정한 정세 및 높은 환율 등으로 단기적으로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은 있지만, 정국 안정 시 회복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정국 안정 시 2025년 중국비자면제 효과 본격화,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따른 항공화물부문에서의 높아진 시장 지배력과 규모의 경제효과 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