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시 1위 정책은 '기후동행카드'
▷ '2024년 서울시 10대 뉴스' 온라인 투표 결과
▷ 기후동행카드 6만 9천 표 이상 받아 1위, 2위는 '손목닥터9988'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올해 서울시가 추진한 정책 중 가장 많은 시민들의 선택을 받은 건 '기후동행카드'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2024년 서울시 10대 뉴스' 온라인 투표결과, '기후동행카드'가 69,821표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참여인원은 총 186,388명, 총 559,164표가 투표되었으며 기후동행카드의 득표율은 12.49%를 기록했다.
2위는 '손목닥터9988'(62,690표, 11.21%)이 차지했다. 3위는 '서울야외도서관'(60,129표, 10.75%)이 각각 차지했다. 서울시는 "대중적으로 시민의 일상을 풍족하게 만들며 한 해 동안 꾸준한 사랑을 받은 정책들이 높은 순위에 올랐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저출생 종합대책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가 4위, 신혼부부를 위한 장기전세주택을 공급하는 '미리 내 집' 여의도 공원에서 운영하는 관광용 헬륨 가스기구 '서울달'이 9위 등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는 총 8,060명이 24,180표를 행사하여, '고립 및 은둔청년지원'(13.84%), '정원도시서울'(13.01%), '서울달'(12.34%)가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서울시는 "외국인들이 일상 속 혜택보다는 도시정책을 이끌어 가는 서울시민의 특별한 정책들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령 별로는 정책 선호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10~20대는 '서울야외도서관'이 12.4%, 30~50대는 기후동행카드가 12.75%, 60대 이상은 손목닥터9988이 12.94%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마채숙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한 해를 마무리하며 시정을 돌아보는 뜻깊은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에게 감사드린다"며, "2025년에도 민생을 보다 촘촘히 돌보고 일상 속 특별함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