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서울시 올해 첫 추경예산 1조 5,110억... "핵심은 민생경제"

▷ 원안대로 통과하면 총예산 47조 2,991억 원... 2023년보다는 3조원 가량 감소
▷ 민생경제 활성화에 중점... 서울시 광역사랑상품권 발행규모 3배 늘려

입력 : 2024.05.27 14:22 수정 : 2024.05.27 14:26
서울시 올해 첫 추경예산 1조 5,110억... "핵심은 민생경제" 지난 4월 30일에 열린 서울시 민생경제정책 점검회의 (출처 = 서울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서울시가 올해 첫 추경예산으로 1 5,110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기존 예산 대비 3.3% 증가하여, 의회에서 원안대로 통과되면 서울시의 올해 총 예산은 47 2,991억 원이 될 예정입니다.

 

이는 2023년 최종예산인 50 3,760억 원보다는 3 769억 원(-6.1%) 감소한 규모인데요.

 

추경예산안 중 가장 많은 비중(3,682억 원)을 차지한 건 민생경제 부문입니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1,051억 원, 시민 생활 지원에 1,157억 원, 취약계층 보호에 1,47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건데요. 서울시는 민생경제 외 안전 분야에는 1,137억 원, 도시 공간 혁신 등에 773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서울시 曰 올해 첫 추경의 핵심은 시민에게 약속한 민생경제 대책 마련과 취약 계층에 대한 보호 강화다. 아울러 필수 도시 기반시설의 안전한 유지와 도시경쟁력 향상에도 적극적인 투자를 펼칠 계획이다

 

서울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투입하는 올해 예산은 1,051억 원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프리랜서 등을 지원합니다. 세부 분야의 예산 규모 별로 보면, ‘청년안심주택 선매입 680억 원, ‘소상공인 금융지원 114억 원, ‘서울 광역사랑상품권 추가 발행 57억 원 등의 순인데요. 이 중 눈에 띄는 건 서울 광역사랑상품권 추가 발행입니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소비심리를 회복시키고, 소상공인 매출 향상에도 기여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서울 광역사랑상품권의 발행 규모를 현 500억 원에서 1,500억 원으로 세 배나 늘립니다.

 

광역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시의 대표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중 하나입니다. 서울시내에 자리한 모든 자치구에서 상품권을 사용 가능하며, 올해부터는 오프라인 가맹점뿐만 아니라 우체국 쇼핑 내 서울시 소상공인온라인전용관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오는 30일에부터 300억 원 규모의 상품권을 5% 할인된 금액으로 발행할 방침입니다.

 

접속자가 몰릴 것을 예상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는 출생연도 짝수, 오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는 홀수가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구매 한도는 1인당 30만 원으로, 100만 원까지 보유가 가능합니다. 유효기간은 5년이며, 만약 상품권을 현금으로 구매하여 60% 이상 소모했다면 잔액을 환불 받을 수 있습니다.

 

최선혜 서울시 소상공인담당관 曰 광역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어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이번 발행을 통해 고물가·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는 물론 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한편, 서울시는 시민 생활 지원 분야에는 1,157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5월 기준 이용자 수가 50만 명을 넘긴 기후동행카드에 697억 원, 오는 10월부터 도봉~영등포 구간에서 운영될 예정인 새벽동행버스에 11억 원, 35에이상 입산부의 의료비 지원에 80억 원 등의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저출산과 교통 분야에 예산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서울시의 이번 추경안은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94억 원), △시립 공공병원 지원(456억 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280억 원) △지하철 1~4호선 노후시설 재투자(206억 원) △하수관로 정비(347억 원) △국회대로 지하차도 및 상부공원화(137억 원) △시내버스·지하철·경전철 재정 지원(897억 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김태균 서울시 기획조정실장 曰 이번 서울시 추경은 장기화된 3(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민생경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빠르게 시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6월 시의회에서 의결되면 서민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신속히 집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

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

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

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

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

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

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