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반도체 시장 성장 전망, 스마트폰 출하량은 감소"
▷ 한국수출입은행, 'ICT 산업 동향 및 전망'
▷ 올해 D램 및 낸드플래시 시장 성장률 상향 조정
▷ 스마트폰 시장에선 삼성전자가 애플에 뒤따라잡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근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고 있는 ICT 산업의 2024년 성장률이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은 'ICT 산업 동향 및 전망'(2024년 4분기) 보고서를 통해, 올해 반도체 시장 중 D램 시장의 성장률은 기존 69%에서 88%, 낸드플래시 시장 성장률은 기존 57%에서 74%로 수정 전망했다. 디스플레이 시장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전년 대비 13% 성장을 예상하면서도, OLED 시장의 성장률은 기존 19.7%에서 25.7%로 상향 조정했다. 2024년 스마트폰 출하량에 대해선 전년 대비 5.8%에서 5% 내외로 소폭 하향하였다.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 11월 기준으로 1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데, 그 중심에 있는 건 '반도체'다.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역대 최대 실적인 1,150억 불(+47.2%)을 기록한 데다가, 컴퓨터와 같은 주요 품목도 전년 대비 67.6%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의 좋은 성적은 세계시장 환경으로부터 기인한다. 한국수출입은행 분석에 따르면, 3분기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전년동기 대비 92% 성장하면서, 4분기 연속 전년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AI 투자 열풍에 따른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등에 힘을 입었다.
3분기 기준, 반도체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은 각각 전년동기 대비 48.5%, 23.4.% 증가했다. 4분기에는 각각 전분기 대비 8~13% 상승, 3~8% 하락한다는 게 한국수출입은행 전망이다. D램의 경우, 고부가 제품인 HBM의 선전에 힘입어 가격이 증가하고, 낸드플래시는 생산증가 및 수요감소 등으로 인해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3분기 메모리반도체 기업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78%, 전분기 대비 3% 이상 증가했다. 삼성전자 DS 부문의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78%, 전분기 대비 3% 증가한 29.3조 원을 기록했다. 눈에 띄는 건 SK하이닉스다. SK하이닉스는 전년동기대비 94%, 전분기 대비 7% 증가한 17.6조 원의 매출을 거뒀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며, 영업이익은 7.0조 원, 영업이익률은 40%를 기록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3분기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에 대해선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347억 달러로 추정했다. OLED 시장이 같은기간 40.9% 성장한 146억 달러를 나타냈다. 스마트폰, TV 등 IT용 패털이 성장을 견인했다.
그럼에도 가격의 하락세는 막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LCT TV 패널 가격은 3분기에 전년동기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4분기에는 보합세를 보인다는 전망이다. OLED TV 패널의 평균가격은 약 10% 하락, 4분기에도 하락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기업은 OLED 패널 수요 증가 등으로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되었다. 삼성디스플레이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 감소하긴 했으나, 전분기와 비교하면 4.6% 늘었다. LG디스플레이의 경우 3붐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3% 증가한 6.8조 원을 달성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3분기 디스플레이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4% 감소한 52.8억 달러를 기록했다. OLDE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0.5% 하락, LCD 수출은 9.3% 줄어든 11.3억 달러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휴대폰 수출은 다소 주춤한 모양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3분기에 2.8% 줄었다. 애플과 샤오미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각각 3.5%, 3.3% 증가한 모습과 대조적이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18.3%, 아직까지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후발주자인 애플(17.7%)과의 점유율 격차는 줄어들었다. 샤오미(13.5%)도 그 뒤를 바짝 추격 중이다.
한국수출입은행 설명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성장성은 애플 대비 양호한 반면, 수익성에서는 큰 격차를 드러냈다. 삼성전자의 MX/네트워크사업부의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한 30.5조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같은기간 14.5% 줄어 2.8조 원을 나타냈다. 영업이익률은 약 9%, 매출액에 비해 이익을 크게 확보하지 못한 모습이다.
애플은 상황이 다르다. 아이폰 등 스마트폰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5.5% 증가한 462억 달러, 전사 영업이익은 9.7% 늘었다. 미국, 중동, 한국, 동남아에서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애플의 전사 영업이익률은 프리미엄폰 시장의 높은 지배력과 서비스 사업의 매출 증가 등으로 31%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내년도 국제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생성형 AI의 확대, 선진국 시장 수요 회복 등으로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가 가성비 제품 출시, 유통채널 구축 등의 노력을 강화하면서 스마트폰 기업간 경쟁이 심화된다는 전망이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