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이 본 12.3 내란 "윤, 어떤 직책에도 부적합한 인물"
▷ 뉴스위크 "계엄, 유례없는 자기파괴적 행위"
▷ WP "국힘, 국가보다 당을 우선시해"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영국 BBC는 4일 '윤석열 대통령은 왜 갑작스럽게 비상계엄을 선포했을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 대통령의 돌발적 행동이 "현대 민주주의 국가라 자부하는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며 "이는 독재 시절 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최대 도전"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BBC는 사건 당일 계엄군과 대치했던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인터뷰하고, 이재명 대표에게 탄핵 표결 전망을 묻는 듯 관련 보도를 이어갔다. 또한 지난 7일엔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안철수·김예지)의 인터뷰를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연달아 실었다.
뉴스위크는 5일 '윤석열은 무슨 생각이었을까'라는 제목의 의견기사에서 "그가 정치적 입지를 회복하고 남은 임기를 채울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도했다. 나아가 이번 비상계엄 선포를 "역사상 유례 없는 자기파괴적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코노미스트는 4일 '윤석열은 사퇴하거나 탄핵돼야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번 계엄은 "충격적이고 부끄러운 일"이라며, 윤 대통령은 "대통령직뿐 아니라 어떤 직책에도 부적합한 인물"이라고 밝혔다.
미국연합통신(AP)은 9일 보도에서 계엄 당일에 대해 "어렵게 쟁취한 민주주의의 승리"라며 "수천 명이 국회에 찾아가 계엄령 해제와 윤 대통령 퇴진을 외쳤고, 한 명의 희생자 없이 민주주의를 회복했다"고 적었다.
워싱턴포스트는 칼 프리드호프 시카고 국제문제위원회 연구원을 인터뷰해 "보수정당이 국가보다 당을 우선시하는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있었다"며 "이제 국민의힘도 그런 경우로 기록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