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이 본 12.3 내란 "윤, 어떤 직책에도 부적합한 인물"

▷ 뉴스위크 "계엄, 유례없는 자기파괴적 행위"
▷ WP "국힘, 국가보다 당을 우선시해"

입력 : 2024.12.11 10:00 수정 : 2024.12.11 10:10
외신이 본 12.3 내란 "윤, 어떤 직책에도 부적합한 인물" 9일 제주시청 앞에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 를 풍자하는 그림이 걸려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영국 BBC는 4일 '윤석열 대통령은 왜 갑작스럽게 비상계엄을 선포했을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 대통령의 돌발적 행동이 "현대 민주주의 국가라 자부하는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이는 독재 시절 이후 민주주의에 대한 최대 도전"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BBC는 사건 당일 계엄군과 대치했던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인터뷰하고, 이재명 대표에게 탄핵 표결 전망을 묻는 듯 관련 보도를 이어갔다. 또한 지난 7일엔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안철수·김예지)의 인터뷰를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연달아 실었다.

 

뉴스위크는 5일 '윤석열은 무슨 생각이었을까'라는 제목의 의견기사에서 "그가 정치적 입지를 회복하고 남은 임기를 채울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도했다. 나아가 이번 비상계엄 선포를 "역사상 유례 없는 자기파괴적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코노미스트는 4일 '윤석열은 사퇴하거나 탄핵돼야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번 계엄은 "충격적이고 부끄러운 일"이라며, 윤 대통령은 "대통령직뿐 아니라 어떤 직책에도 부적합한 인물"이라고 밝혔다.

 

미국연합통신(AP)은 9일 보도에서 계엄 당일에 대해 "어렵게 쟁취한 민주주의의 승리"라며 "수천 명이 국회에 찾아가 계엄령 해제와 윤 대통령 퇴진을 외쳤고, 한 명의 희생자 없이 민주주의를 회복했다"고 적었다.

 

워싱턴포스트는 칼 프리드호프 시카고 국제문제위원회 연구원을 인터뷰해 "보수정당이 국가보다 당을 우선시하는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있었다""이제 국민의힘도 그런 경우로 기록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필립 사진
이필립 기자  kopja93@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