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韓, 급변한 e스포츠 시장에서 종주국 위상 지키려면 ‘이것’ 필요

▷28일 국회서 ‘e스포츠 산업 글로벌 생태계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토론회 개최
▷”한국, 급변하는 e스포츠 트렌드 대응 위한 대응 전략 필요해”

입력 : 2024.11.28 16:42 수정 : 2024.11.28 18:39
韓, 급변한 e스포츠 시장에서 종주국 위상 지키려면 ‘이것’ 필요 28일 '변화하는 e스포츠산업 생태계, 어떻게 적응하고 대응해야 하나'를 주제로 발표 중인 전용배 단국대 스포츠경영학 교수(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이 글로벌 e 스포츠 시장에서 종주국으로서 위상을 지키고 있는 가운데 급속한 e스포츠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용배 단국대학교 스포츠경영학 교수는 28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진행된 ‘e스포츠 산업 글로벌 생태계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토론회에서 국내 e스포츠 산업은 뛰어난 경기력이라는 강점을 지니고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e스포츠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현재 글로벌 e 스포츠 시장의 흐름을 중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 흐름에 사우디아라비아도 가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제 발표 중인 전용배 단국대 스포츠경영학 교수(사진=위즈경제)

 

전 교수는 글로벌 e 스포츠는 약 2조 원에 달하는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중국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임에도 e스포츠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통해 가장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있다면서 중국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도 e스포츠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여러 국가에서 e스포츠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는 이유로는 최근 기존 올림픽 종목에 대한 인기가 떨어지고 있으며, 적자도 큰 상황이다라며 이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e스포츠를 선점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e스포츠 산업에 대해서는 한국 e스포츠 산업 규모는 약 2800억 규모로 코로나 시기를 제외하면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아울러 한국 e스포츠는 우수한 경기력을 토대로 공공한 글로벌 위상을 지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급변하는 e스포츠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e스포츠 지역 연고제 도입 아마추어 리그 운영 e스포츠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강화 등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한국 e스포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심도 있는 토론을 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