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은 줄고, 비정규직은 늘어났다
▷ 통계청 2024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 임금근로자 중 정규직이 61.5%, 비정규직 38.2% 구성
▷ 전년동월대비 정규직 줄어든 반면, 비정규직은 늘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의 지난 8월 고용률은 63.1%, 실업률은 2.0%를 기록했다. 8월 기준 노동시장 역대 가장 좋은 성적이다. 고용노동부는 "취업자수는 지난 7월 기상악화 등에 따른 일시적 둔화에서 벗어나 전년동월대비 26.8만 명 증가했고, 전월 대비로는 7.7만 명 증가하며 2개월 만에 증가 전환되었다"며 청년층의 고용률 역시 양호한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고용률의 규모 자체가 늘어났다고 해도 일자리의 질 자체가 향상된 건 아니다. 통계청의 2024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이 845만 9천 명(38.2%)으로 전년동월대비 1.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에 나타난 고용률 호조세의 기반이 '비정규직'에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2,214만 3천 명 중, 정규직은 1,368만 5천 명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다. 비정규직이 전년동월대비 33만 7천 명 증가한 반면, 정규직은 14만 7천 명 줄어들었다.
비정규직의 근로형태 별로 보면, 한시적 근로자가 562만 8천 명(66.5%)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시간제 근로자 425만 6천 명(50.3%), 비전형 근로자는 190만 3천 명(22.5%)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제 근로자가 38만 3천 명 늘어나며 증가세가 가장 컸고, 한시적 근로자는 36만 9천 명 늘었다. 비전형 근로자는 5만 4천 명 줄어들었다.
성별로는 남성 비정규직이 361만 5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만 8천 명 늘었다. 여성 비정규직은 484만 4천 명으로, 27만 9천 명 증가하면서 남성을 상회했다.
눈에 띄는 점은 연령별 비정규직이다. 60세 이상 비정규직이 281만 2천 명(33.2%), 50대가 166만 1천 명(19.6%)으로 나타나며 비정규직 대부분이 고령으로 구성되었다.
추세상으로 보면 더욱 뚜렷하다. 전년동월대비 60세 이상 비정규직이 19만 3천 명 늘었다. 30대 역시 8만 4천 명 증가하긴 했으나, 60대와 50대를 합치면 그 증가세만 22만 7천 명 규모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고령층 중심의 비정규직 일자리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직업 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가 275만 8천 명을 나타내며 대부분을 차지했다. 서비스 종사자가 144만 6천 명, 전문가및관련종사자는 138만 3천 명 순으로 나타났다.
66.6%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근로형태를 '자발적 사유'로 선택했다. 지난해보다 1.0%p 상승한 규모다. 이들 중 절반 이상(59.9%)가 근로조건에 만족하여 비정규직을 선택했다.
현 직장(일)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 10개월로 2개월 늘었으며, 최근 3개월(6~8월) 월평균 임금은 204만 8천 원으로 9만 1천 원 늘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