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취업 시장을 휩쓰는 ‘생성형 AI’…채용 변별력은 어떻게?

▷챗GPT 등 생성형 AI 보편화...취업 시장에서 영향력↑
▷취업 시장에서 챗GPT 활용도 높아지면서 서류 전형 변별력 확보 중요

입력 : 2024.09.09 15:36
취업 시장을 휩쓰는 ‘생성형 AI’…채용 변별력은 어떻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이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는 가운데 취업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플랫폼 캐치의 조사 결과, 취준생 10명 중 6명이 자기소개서(자소서) 작성 시 챗GPT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취준생 137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자소서 작성 시 챗GPT활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60%의 응답자가 GPT를 활용한 경험이 있다라고 답했다.

 

반면, ‘활용 경험이 없다라고 답한 비중은 40%였다.

 

특히, 대다수의 취준생은 챗GPT의 자소서 작성 실력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GPT의 자기소개서 작성 실력이 나보다 우수하다라고 답한 비중이 49%로 절반을 차지했으며, ‘비슷하다’ 35%, ‘미흡하다’ 16%로 집계됐다.

 

자소서 작성 시 챗GPT를 활용하는 이유로는 작성 시간 단축(6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 제공맞춤법 등 정확도 향상 15%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객관적 피드백 제공(7%)’ 등의 의견도 있었다.

 

자소서 작성 과정에서 GPT를 활용하는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지원 기업 및 직무 분석 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초안 작성 28%, ‘문항 분석 27%로 비슷하게 조사됐으며, ‘첨삭 요청에 활용한다는 의견도 25%를 차지했다.

 

반면, GPT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표절 등 위험성(3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진정성 및 독창성 부족 25%로 나타났고, ‘GPT를 잘 몰라서라고 답한 경우도 18%를 치지했다.

 

이외에도 잘못된 정보 제공의 가능성(13%)’, ‘GPT의 성능이 의심되어서(7%) 등의 의견도 있었다.

 

이처럼 취업 시장에서 챗GPT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서류 전형 변별력 확보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람인 HR 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채용에서 가장 달라진 부분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기업 인사담당자의 약 30%, 구직자의 52%‘AI 활용 증가라고 답했다.

 

특히,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챗GPT 등 생성형 AI로 작성한 자소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64%로 높았으며, GPT로 작성한 자소서라는 것이 확인됐을 경우, 감점(42.2%) 또는 불합격(23.2%) 등 불이익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73%의 기업들은 챗GPT로 자소서를 작성했는지에 대해 별도의 판단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향후 자소서 선별 기능 강화(51%)’, ‘자소서가 아닌 다른 전형 비중을 높이는 방향(41%) 등을 통해 대처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현시점에서는 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해 자소서를 작성했는지 여부를 판별이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람인 HR 연구소는 “AI가 생성한 텍스트를 신뢰성 있게 감지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라며 개별 기업에서 챗GPT로 작성한 자소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될 때까지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전망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생성형 AI 시대에 인재 채용을 위한 방안으로 서류전형에서 자소서를 없애거나 면접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소는 “(향후) 기업의 대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것이다. 첫째는 앞으로 자소서를 아예 받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면접을 통해 자소서의 내용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것이다라며 숙련된 면접관이 자소서를 바탕으로 질문을 하면, 지원자의 경험과 성취 및 자기 평가가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지원의 진정성과 지원자의 성격, 경험 역량 기업과의 적합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직장 경험이 없는 신입의 경우, 자소서에 기술된 가치관이나 학습 동기에 대해 질문함으로써,개인적 신념이 기업의 문화와 얼마나 잘 맞는지를 평가할 수 있어 직원의 만족도와 조직 내 인재 유지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