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도 무역수지 적자… 올해 적자만 -338억 달러
▷ 10월 한 달 무역 성적표 발표
▷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크게 늘어
▷ 2022년 연간누계 무역수지 적자 300억 달러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무역, 10월 성적표가 9월과 마찬가지로 좋지 않습니다.
관세청 발표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같은 달 20일까지 우리나라가 기록한 수출은 324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9억 달러(5.5%)가 감소했습니다.
반면 수입은 6.8억 달러(1.9%) 늘면서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10월 당월의 무역수지는 약 49억 5천만 달러의 적자, 9월(1일~20일)의 적자 약
41억 달러보다도 규모가 불어났습니다.
올해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무역 성적표를 종합해보면, 경제에 빨간불이 들어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2022년 들어서 10개월간 우리나라가 거둔 수출액이 약 5천 5백 억 달러, 수입액은 약 5천 9백억 달러입니다.
지난 2021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수출액은 11% 올랐지만, 수입액은 23.3% 증가했는데요.
수입이 수출보다 크게 늘어남에 따라 무역수지가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2021년의
연간누계(1.1~10.20.) 무역수지는 흑자로 약 2백억
달러, 2022년에는 적자로 약 3백억 달러입니다. 지난해보다 5백억 달러 정도 무역 손해를 본 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품목 별로 살펴보면, 10월 한 달 동안 수출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건 석유제품, 승용차, 자동차부품 등입니다.
석유제품이 약 50억 달러, 승용차가 약 20억 달러, 자동차부품이 약 10억 달러 정도 팔렸는데요.
지난해와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각각 16.4%, 32.1%, 9.8%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반도체와 철강제품, 선박, 컴퓨터주변기기 등 대부분 품목들은 수출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도체의 수출액이 약 50억 달러로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년 동기
대비 규모는 12.8% 감소했습니다. 특히,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출액 감소율이 30.2%, 선박이 22.9%로 다른 품목들에 비해 타격이 컸습니다.
10월 한 달 동안 전체적인 품목의 수입액은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반도체를 전년동기대비 13.9%, 가스를 24.6%, 승용차를 34.6% 더 사들였는데요. 수입액 중 가장 큰 비중을 갖고 있는 건 역시 원자재입니다.
원유
수입액이 약 47억 달러, 가스가 약 28억 달러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로, 반도체 수입액이 약 43억 달러로 주요 품목 중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0월 한 달 동안 우리나라는 對아시아 수출 성적이 악화되었습니다.
우리나라 물건을 가장 많이 사가는 국가는 중국인데, 對중국 수출액은 10월 한 달 기준 약 76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3% 감소했는데요. 일본이나 대만, 말레이시아 등을 상대로 한 수출액도 규모가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對말레이시아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0.5% 떨어졌습니다.
우리나라 무역의 큰 손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 사실 요즘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관계는 상당히 미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점차 극화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나라가 경제적, 외교적으로 미국과 열심히 협력하는 모습이 중국 입장에선 마뜩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의 물건을 사는 걸 지양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셈입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관계도 살얼음판에 놓인 가운데,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것이란 이야기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은 지난 16일에 “대만에 대한 무력 사용 포기를 절대 약속하지 않을 것이며 대만 통일은 반드시 실현될 것”이라 선언한 바 있으며, 미군의 해군참모총장도 중국의 대만침공설에 힘을 실었습니다.
중국이
실제로 대만을 침공하면,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경제적인 관계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대만을 보호할 것이란 의지를 공고히 한 이상, 우리나라도
거기서 발을 빼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