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 휴가 트렌드는 어땠나... "팬데믹 이전과 유사"
▷ 한국교통연구원 '2024년 하계휴가 트렌드 분석'
▷ "해외여행 수요 꾸준히 증가 예상"... 비용도 증가
 지난 광복절, 붐비는 김포공항의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지난 광복절, 붐비는 김포공항의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본격적인 가을을 알리는 처서(處暑)를 맞으면서 여름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여름이 상당히 무더웠던 만큼, 많은 여행객이 하계 휴가기간에 여행을 떠났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7월 25일부터 8월 11일까지 전국 이동량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총 1억 734만 명으로 예상한 바 있는데요.
올해 하계휴가 기간, 여행객들은 동해안과 남해안을 주된 여행지로 꼽았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의 ‘2024년 하계휴가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국내 하계휴가 트렌드는 팬데믹 이전의 트렌드로 돌아갔다”며, “국내 하계휴가 여행지 분포의 경우 기존 패턴과 유사하게 동해안권, 남해안권 바다가 있는 곳으로 간다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특히, 동해안권을 여행 예정지역으로 삼은 비율이 25.1%로, 지난해(24.2%)보다
늘었습니다. 고속도로 이용 비율 또한 영동선이 높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경부선(14.9%), 서울 양양선(12.7%), 서해안선(9.3%)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하계휴가를 이용하는 교통수단도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2023년
대비 승용차는 3.8% 감소한 반면, 항공은 약 3.7% 증가했습니다. 해외여행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가 대폭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팬데믹 종료 후, 폐지 혹은 운휴 노선이 2년 동안 회복되면서 항공 교통량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나, 하계휴가를 비롯하여 다른 연휴 기간에도 항공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2024년 국내여행 비율은 76.6%로 지난해(82.5%)보다 감소한 반면, 해외여행은 23.4%로 오히려 전년(17.5%)보다 늘었습니다.
국내여행보다 해외여행의 수요가 많아지는 건 정부에 있어서 걱정거리입니다. 여행수지
때문입니다. 관광객들이 국내에서 쓰는 돈보다 해외에서 쓰는 돈이 많으면, 내수경제부터 시작해서 여러모로 경제에 긍정적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 6월까지 누적된 여행수지 적자만 64.8억 달러로, 이미
전년도(57.6억 달러 적자)의 규모를 뛰어 넘은 상황입니다. 정부는 여행 수지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외국인 관광객 대상으로는 적극적인 유치 전략을 펼치는 동시에, 국내 여행객에게는 숙박 할인권을 지급하는 등의 방식을 시행 중에 있습니다.
한편, 한국교통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하계휴가의 ‘예상 비용이 100만 원 이상일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7년 23.1%에서 2024년 44.4%로 21.3%p나
증가했는데요. 이에 대해 한국교통연구원은 “생활 및 휴가지
물가 상승, 해외여행 비율 증가”를 이유로 꼽았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개인 삶의 질이 향상되고, 기업들의 휴가 인식 변화, 다양화된 근무제도, 징검다리 연휴 등으로 인해 하계휴가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하계휴가 기간이 분산되고, 자체적인
휴가 기간이나 빈도도 다양화되고 있다는 겁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