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인기얻나... '그린대로' 신규 회원 4만 명 ↑
▷ 귀농·귀촌 플랫폼 '그린대로', 1년간 총 방문자 수 600만 명 육박
▷ 회원 가입자 중 30대 청년이 34.7%로 가장 많아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정부는 지방의 균형 발전을 위해 ‘귀농 및 귀촌’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일환 중 하나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운영하는 ‘그린대로’입니다. 그린대로란, 귀농·귀촌 정책, 농지·주거, 일자리, 교육·복지 등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모아서 제공하는 플랫폼인데요.
9일, 정부는 그린대로의 지난 1년간 방문자 수가 총 5,919,343명, 신규 가입자 수는 총 40,308명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신규 가입자를 포함한 총 회원 가입자 수는 134,354명으로 집계되었는데요. 정부는 “농식품부에서 신규 가입 회원 중 농업경영체 등록자를 파악한 결과, 총 1,079명이 등록한 것으로 조사되어 ‘그린대로’ 운영 첫해에 귀농귀촌 플랫폼으로서 성공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는데요. 신규 가입 회원 중 2.7%가 귀농·영농을 개시함으로써 그린대로가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는 설명입니다.
눈에 띄는 점은 회원 가입자의 연령입니다. 귀농·귀촌 정보를 알아보려는 30대 청년이 34.7%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5.2%, 50대 24.6%, 60대 이상이 14.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촌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이 돋보이는 셈인데요.
회원들의 현 거주지는 수도권이 52.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경기도(28.2%)와 서울(19.8%)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귀농·귀촌에 관심을 갖는 지역은 경기(18.9%), 전남(9.8%), 강원(9.3%), 충남(9.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회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진 분야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등 체험정보였습니다. 조회수가 약 170만 건으로 31.5%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가이드(120만 건), 지자체관(97만 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요. 연령별로 보면 30대 이하 청년과 40대는 교육정보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50대와 60대는 체험정보가 1순위였습니다.
정부는 이용자 만족도 85.2점, 브랜드 인지도가 19.7%에 달한다며 ‘그린대로’의 성과를 설명했습니다만, 아직 가야할 길은 멉니다. 통계청의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귀어 가구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황 귀농 가구수는 10,307가구로 전년대비 17%가 줄어들었고, 귀농인은 10,540명으로 16.7%가 하락했습니다. 귀농가구수의 감소폭이 2022년보다 늘어난 양상인데요.
귀농가구주의 평균연령이 56.3세, 76.8%가 1인 가구로 나타났습니다. 귀촌가구의 경우 2023년 기준 306,441가구로, 가구주 평균연령 45.4세, 78.5%가 1인가구를 차지했습니다. ‘그린대로’를 통해 귀농·귀촌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해도, 전체적인 통계에는 아직까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셈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