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제조업·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 심각한 경영애로사항으로 꼽아

▷ 6월중 전산업 기업심리지수 95.7, 전월대비 2.8p 상승
▷ 경영애로사항으로서 '내수 부진' 비중 높아

입력 : 2024.06.27 10:58 수정 : 2024.06.27 10:58
제조업·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 심각한 경영애로사항으로 꼽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은행의 ‘2024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6월 기준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95.7로 전월에 비해 2.8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달 전망 CBSI 역시 1.3p 증가했는데요. CBSI가 여전히 100을 하회하면서 기업들이 인식하고 있는 경제적 여건은 녹록지 않으나, 전월보다 수치가 증가한 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CBSI(Composite Business Sentiment Index):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지수(제조업 5, 비제조업 4개를 이용하여 산출한 심리지표. 2003 1월부터 2023 12월까지 장기평균치를 기준값 100으로 잡아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6월중 제조업 기업심리지수는 97.4로 전월에 비해 3.0p 상승했으며, 다음달 전망지수는 95.1 1.4p 늘어났습니다. 한국은행은 자금사정 및 업황 등이 주된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비제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6월중 비제조업 기업심리지수는 94.3으로 전월에 비해 2.5p 늘어났으며, 다음달 전망지수는 91.7 1.3p 증가했는데요. 여기서 상승요인으로 작용한 건 채산성과 자금사정, 매출입니다만, ‘업황의 경우 유일하게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비제조업의 시장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다는 건데요.

 

눈 여겨볼 부분은 제조업과 비제조업이 이야기한 경영애로사항입니다. 제조업은 가장 심각한 경영애로사항으로서 내수 부진’(23.9%)을 이야기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불확실한 경제상황(18.2%), 인력난·인건비상승(10.1%) 등이 뒤를 이었는데요. 비제조업도 동일하게 내수 부진(20.8%)의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인력난·인건비상승(15.2%), 불확실한 경제상황(15.1%)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는데요. , 제조업과 비제조업이 공통으로 내수 시장의 부진이 경영의 큰 어려움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지적한 셈입니다.

 

내수부진은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경제적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특히,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기 시작한 2023년 초반부터 내수 경기는 급격한 하락세를 걷고 있는데요.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 경기는 여전히 부진합니다. 올해 1분기에 반짝 반등하긴 했습니다만, 앞서 목격했듯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을 경영애로사항을 주된 어려움으로 지적한 바 있습니다.

 

보통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 내수 경기 역시 좋아집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최근 내수 부진의 요인 분석: 금리와 수출을 중심으로에 따르면,수출 증가는 소비와 투자의 증가로 이어지며, 즉각적으로는 투자에 대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지만 소비에 대한 영향이 더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수출이 늘어나면서 나타난 소비 및 투자 반응이 약 3~4분기 동안 유의미하게 지속된다며, “2023년 상반기의 수출 부진이 내수 각 부문에 최근까지도 일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2023년 초반기에 나타났던 수출 부진의 후폭풍을 지금 겪고 있다는 건데요.

 

연구진은 현재의 고금리 환경 하에서 수출이 지속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경우, 2024년에 내수 위축의 정도는 어느 정도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고금리가 내수 회복에 큰 제약으로서 작용할 것으로 짚었습니다. 높은 금리의 누적된 피로가 소비 주체에게 여전한 압박이라는 겁니다. 연구진은 최근 수출 회복에도 불구하고 고금리정책으로 인해 내수 회복이 제약되고 있는 현상은 인플레이션 안정을 위한 정상적이고 불가피한 통화정책의 결과라면서, 향후에도 금리정책의 내수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파급의 시차를 감안하여 선제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정리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