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주택담보대출 증가량,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
▷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량 5.7조 원,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5.4조 원 늘어
▷ 금융당국, "명목 GDP 성장률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5월 기준, 全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총 5.4조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월(4.1조 원)의 가계대출 증가폭을 상회하는 규모로 다소 주춤했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양상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은 5.6조 원 증가하여 전월보다 증가폭이 크게 확대되었는데, 이는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데에서 기인합니다. 5월 중,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은 5.7조 원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입니다.
여기에 가계대출까지 합하면, 5월중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5.0조 원 늘어났습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주택매매·전세거래량 회복, 은행재원 디딤돌·버팀목 대출 증가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확대된 데에 주로 기인하였다”고 설명했습니다.
5월중 디딤돌·버팀목 대출의 증가액은 3.8조 원을 기록한 바 있는데요. 5월중 은행권의 기타대출의 증가폭이 전월보다 줄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담보대출의 무게감이 상당합니다.
금융당국은 주택담보대출이 활성화되는 점에 대해서, ‘주택거래 회복세’, ‘금리 인하의 기대감’ 등을 원인으로 언급했습니다. 12일 열린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금융위원회는 “주택거래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하반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지속 및 대환경쟁 압력 등에 따라 3% 후반대 대출금리가 유지된 것”을 이유로서 분석했습니다. 차주로서 금리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기에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다는 이야기인데요.
은행권과 달리,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0.7조 원 감소했는데 여전사와 저축은행, 보험이 증가하였으나 상호금융이 1.6조 원 줄어들며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2023년 말과 비교했을 때 2024년 연중 가계대출의 증가폭은 총 3.6조 원을 기록한 상황,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안정적’이라 평가했습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2024년 가계대출은 전반적으로 명목 GDP 성장률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가계부채의 전체적인 규모는 다른 선진국들보다 높은 건 맞지만, 관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늘어나고 있지는 않다는 설명입니다.
다만, 가계부채가 명백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은 방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덧붙였습니다. 권 사무처장은 “하반기 통화정책 기조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책모기지 요건 완화, 부동산 거래 회복, 부동산 세제개편 논의 등이 맞물리는 등 하반기에는 금융권과 더욱 세심한 관리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 덧붙였습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曰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가계부채 전반에 ‘갚을 수 있는 만큼 빌리고 처음부터 나눠갚는 대출관행’을 확립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노력과 더불어, 금융권 스스로도 가계부채의 중요성에 대해 당국과 인식을 공유하면서 차주의 상환능력을 감안한 대출이 일선 현장에서 취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을 부탁드린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