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애플, AI 서비스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통화녹음∙이미지 생성 기능도 지원

▶애플, 자사 제품에 적용할 개인용 지능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
▶'애플 인텔리전스를 통해 애플 제품이 사용자에게 선사하는 능력은 일대 변혁 가져올 것"

입력 : 2024.06.11 14:55 수정 : 2024.06.11 15:13
애플, AI 서비스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통화녹음∙이미지 생성 기능도 지원 (출처=애플 페이스북)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애플(Apple)이 자사 제품인 아이폰, 아이패드, (Mac) 등에 개인용 지능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용하고 유의미한 지능형 기능을 제공합니다.

 

애플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 파크 본사에서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 2024를 개최하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팀 쿡 애플 CEO애플 혁신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게 되어 무척 기쁘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사용자가 애플 제품으로 이룰 수 있는 일, 그리고 Apple 제품이 사용자에게 선사할 수 있는 능력에 일대 변혁을 가져올 것이라며 애플 고유의 방식을 바탕으로, 생성형 AI를 사용자의 개인적인 상황 및 맥락과 결합하여 실로 유용한 인공지능 역량을 제공한다. 또한, 이 스마트한 역량은 사용자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일들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에 액세스할 때도 개인정보와 보안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애플의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는 글쓰기, 메일 등 텍스트 작성 지원 기능을 비롯해 기존 아이폰에서 제공하지 않았던 통화 녹음 기능을 통해 오디오를 녹음, 전사 및 요약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애플 인텔리전스는 이미지 생성 기능을 지원해 사용자가 애니메이션, 일러스트, 스케치 등을 활용해 짧은 시간 내에 독창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와 함께 애플의 자체 음성 비서 시리(Siri)’도 애플 인텔리전스를 통해 한층 풍부해진 언어 이해 역량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요청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리는 오픈AI의 챗GPT(ChatGPT) 기능과의 연계를 통해 전문 지식과 이미지 및 문서 이해 역량을 강화시킬 예정입니다.

 

시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GPT의 전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문서나 사진과 함께 사용자의 질문을 챗GPT로 보내기 전에 항상 사용자의 허락을 먼저 구한 후 답변을 표시해 줍니다.

 

아울러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통해 챗GPT 활용 시 사용자의 정보가 보호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AI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서비스의 대표격인 챗GPT의 국내 이용자 수가 31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지난 5월 챗GPT 앱 사용자 수는 315만명으로,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5120만명 중 약 6%가 사용하는 있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챗GPT 앱 사용자는 남성이 60.4%, 여성이 39.6%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28.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30 23.4%, 40 20.8%, 1014.0%, 60대 이상 1.8%로 집계됐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