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 생육 회복 위해 복구비 지원... "생육관리 철저"
▷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 전남 무안 찾아 피해 상황 점검
▷ 농식품부, 양파 생산 '안정적'으로 전망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3일,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양파의 주된 생산지 전남 무안을 찾았습니다. 이 자리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양파의 생육장애 현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 마련되었습니다. 양파는 지난 겨울부터 기온 상승에 잦은 강우, 일조량 부족 등 악화된 기상여건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은 바 있습니다. 특히,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양파는 추대와 분구 등의 생육이 원활하지 못했는데요.
이에 농식품부는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지자체 등 전문가와 피해원인 분석 및 대책회의를 거쳐 양파의 생육장애를 ‘농업재해’로서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지난 5월 22일부터
지자체를 통해 이미 정밀조사를 실시 중에 있으며, 오는 6월
중으로 복구비를 투입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 “피해 농가가 빠른시일 내에
경영회복을 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조하여 농약대 등 피해복구비를 신속히 지급하겠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해 양파의 생산량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양파에 대한 물가 우려는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본 겁니다.
앞서 보았듯, 제주·전남지역에서 3월 하순부터 출하된 조생종 양파는 2~3월 저온 영향, 일조량 부족 등으로 전년대비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감소하고, 5월에는 잦은 강우로 출하가 지연되어 가격이 상승한 바 있습니다. 다만, 호전된 기상여건에 힘입어 출하작업이 원활해졌고, 양파의 도·소매 가격은 전년대비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5월 하순 기준, 양파의
소매가격은 전년대비 5.7%, 전월대비 18.8% 감소한 2,124원(kg)을 기록했습니다.
게다가, 기상 악화로 큰 피해를 입은 중만생종 양파는 재배면적이 전년보다 8.9% 증가했고 5월 중순 이후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가격은 안정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曰 “이상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서 양파의
수급 안정을 위해 수확기까지 생육 관리를 철저하게 할 필요가 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