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총선 이후 첫 비상경제차관회의... "물가 잡겠다"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경각심 갖고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
▷ 농산물 공급방안에 석유류 물가 면밀히 모니터링

입력 : 2024.04.12 10:31 수정 : 2024.04.12 10:44
총선 이후 첫 비상경제차관회의... "물가 잡겠다" 12일 열린 제38차 비상경제차관회의 (출처 = 기획재정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12일 열린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많은 신경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 속에서 미국 3월 소비자물가가 전월보다 높은 3.5%를 기록하는 등 월별로 굴곡있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제유가 상승, 일부 농산물 가격 강세 등 불안요인이 지속되는 만큼 경각심을 갖고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는 건데요.

 

3월의 농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20.5% 상승한 바 있습니다. 농산물의 가격이 소비자들에게 부담스러울 정도로 치솟자, 정부는 가격 안정을 위해 각종 공급방안을 내놓았습니다.

 

배추는 가락시장 일평균 전체반입량(314)의 절반 이상인 약 170톤을 4월 중에 매일 방출하고, 양파 저율관세수입 물량 5천톤, 대파 할당관세 3천톤을 차질없이 공급하겠다고 전했는데요.

 

사과가 전년동월대비 독보적인 물가 상승률(3월 기준 88.2%)을 기록하는 등, 과일 부문의 물가를 잡기 위해 정부는 4월에 들어서 직수입 과일을 전국 골목 상권에 공급하고, 최근엔 16개 전통시장에 농산물 납품단가를 지원했습니다.

 

전통시장 농할상품권을 4월에 총 400억 원 규모로 발행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석유류 물가에 주목했습니다. 최근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3월의 소비자물가에서도 국제유가 상승분이 2~3주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석유류의 가격이 전년 대비 상승한 바 있습니다.

 

근래의 국제유가는 대체로 상승세에 있습니다. 두바이(Dubai) 현물 유가의 경우, 지난 4 4일 기준 배럴당 89.63달러에서 일주일 뒤인 11일에는 90.88달러까지 증가했습니다.

 

4월 월간가격(11일까지의 가격 기준)으로 봐도, 브렌트(Brent) 선물과 WTI 선물, 두바이 현물과 오맨(Oman) 현물 등의 국제유가가 전월대비 5% 대의 상승폭을 나타냈는데요.

 

이에 대해 페트로넷(Petronet)지정학적 긴장이 유가 하락폭을 제한하고 있다,이스라엘-하마스 휴전협상 차질 우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상대방 인프라 공격에 따른 긴장 고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금융센터 역시, 지난 9일 보고서에서 시장 여건은 여전히 국제유가 강세 지속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백워데이션 강화, 변동성 회복, 금융자금 매수세 증가 등 국제유가 상승을 압박하는 신호가 계속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석유 컨설팅 기업 리포우 오일 어소시에이츠(Lipow Oil Associates)는 이란과 이스라엘 사이의 갈등을 우려했습니다.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해 보복공격을 단행하면 중동에서의 원유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경우에 따라 브렌트유가 배럴당 1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겁니다.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일시적인 영향으로 인해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인 상태. 백워데이션 하에선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을 역전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때 투자자들은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현물을 매도함으로써 차익을 얻는다

 

정부는 이러한 국제유가의 변동성 확대에 편승하여 석유류 등의 과도한 가격 인상을 막기 위해, 범부처 석유시장 점검단의 현장점검을 강화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코아스나 이화그룹 3사나 주주들 가지고 노는건 도낀개낀이네 피해주주 구제할 생각이였다면 상장폐지 되기전에 했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정리매매 기간에 헐값에 주식사들여 경영권 장악 하려다 차질 생기니 이제와서 피해주주들을 생각하는척 하네 지금이라도 정의 실현 할라치면 이화주주연대에 진심어린 협조를 구해 보는건 어떨지? 세상만사 너무 쉽게 보는 코아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