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커머스에 대응 나선 쿠팡…고품질∙최저가로 소비자 마음 사로잡는다
▶쿠팡, 주요 유통업체 보단 낮은 가격에 식료품∙생활필수품 제공
▶고품질∙최저가 상품을 통해 테무, 알리 익스프레스 등 중국 이커머스에 대응
(출처=쿠팡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쿠팡이 설탕과 고추장, 치약 등 주요 식료품과 생활필수품을 대형마트 등 주요 유통업체보다 낮은 가격에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쿠팡은 지난 8일 “쿠팡은
그동안 고객들이 선호하는 우수한 품질의 상품을 발굴하고 고물가 속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들에게 유통업계 최저가 수준의 제품을 제공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쿠팡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입소스(Ipsos)가 쿠팡과 국내 주요
대형마트 3사에서 판매하는 가공식품∙신선식품∙생필품 등 49개 품목의 79개 상품 가격을 분석한 결과, 마트3사의 오프라인 평균 가격이 쿠팡의 평균 판매 가격 대비 26%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샴푸∙부엌세제∙면도기∙치약∙건전지 등 생필품 품목의 평균 가격은 마트가 56%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일례로
헤드앤숄더 쿨맨솔(850ml) 샴푸의 쿠팡가는 9090원이었지만, 마트 가격은 1만6900원으로 86% 비쌌습니다.
아울러
주요 식료품과 신선식품에 대한 가격경쟁력도 쿠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쿠팡의
주요 식료품 품목 39개 평균 가격은 마트가 20% 비쌌습니다. 가장 격차가 큰 대표 품목들은 설탕, 간장, 고추장 등 양념류로 청정원 고추장(500g∙1개)의 쿠팡가는 5630원으로
마트 대비 반값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쿠팡은
높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에 대응해 높은 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대로 전국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물류와 배송망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쿠팡은 8곳 이상 지역에서 신규 풀필먼트센터(FC)를 운영하기 위해 앞으로 3년간 3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2027년까지 무료 로켓배송 지역을 고령화와 저출산 직격탄을 맞은 인구소멸 지역으로 넓혀 전국
5000만명 이상 대상으로 쿠세권(로켓 배송 가능 지역)
확대를 추진합니다.
쿠팡 관계자는 “쿠팡은 지난 수십년간 고객들에게 검증된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해 물류 인프라, 자동화, 고객서비스에
수조원을 투자해왔다”며 “중국 커머스 공세라는 전례 없는
위험을 마주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전국 고객들이 가장 필요한 제품을 저렴하고 빨리 구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물가 안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서울시는 해외 온라인 쇼핑 플랫폼 제품 31개에 대한 안전성
검사 결과,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를 최대 56배 초과하는
인체발암가능물질이 검출돼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상시적인 안전성 검사 실시와 전담 신고센터 운영을 통한 피해구제 등 소비자 보호에 나섰습니다.
시에 따르면 지난 3월 해외 플랫폼(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생활 밀접 제품 31개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 8개 어린이제품 등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고 내구성 등
물리적 안정성이 충족되지 않는 제품도 다량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는 이번 안전성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한 유해성 집중 조사와 소비자
피해구제 등 보호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소비자단체와 함께 저가 물품에 대한 무분별한 소비
대신 지속 가능한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대시민 캠페인’도
진행할 방침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