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어린이 사고, 1년 중 5월에 가장 빈번...소방청, 각별 주의 당부

▶’가정의 달’ 5월 1년 중 어린이 안전사고 가장 빈번
▶교통사고, 3건 중 1건은 자전거 사고

입력 : 2024.05.02 14:30 수정 : 2024.05.02 14:36
어린이 사고, 1년 중 5월에 가장 빈번...소방청, 각별 주의 당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소방청이 1년 중 가정의 달인 5월에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2일 밝혔습니다.

 

소방청이 공개한 최근 3(21~23)13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자료에 따르면 3년간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108759건으로 해마다 연평균 3625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월별 발생건수는 가정의 달인 5월에 가장 많은 11297(10.4%)이 발생했고, 6월과 7, 10월이 뒤를 이어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사고 원인별로는 낙상 및 추락사고 39256(43%)가 가장 많았으며, 교통사고 23980(26.2%), 열상 12066(13.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교통사고 3건 중 1건은 자전거 사고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교통사고 중 자전거 사고는 8049(33.6%)로 가장 많았으며, 차량에 동승한 경우 7666(32%), 보행자 사고가 5489(22.9%)으로 분석됐습니다.

 

연령대별로는 영유아 등 1세 이하에서 21655(19.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13 18809(17.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발생 장소별로는 절반에 가까운 47.4%가 집(가정)에서 발생했고, 도로 및 도로 외 교통지역이 26536(24.7%)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0~1세 이하 영유아 사고의 경우, 대부분이 침대나 소파에서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 가정에서 발생하는 만큼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설치 등이 필요합니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4~6시 사이가 2740(19.1%)으로 가장 많았고, 오후 6~8 19638(18.1%)으로 뒤를 이어 하교 시간에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병욱 소방청 구급과장은 아직 위험상황 인식이 부족한 어린이의 경우, 어른들의 각별한 보살핌과 주의가 필요하다어린이날을 앞두고, 안전하고 즐거운 가정의 달을 보내기 위해서는 기본 안전수칙 준수 등 사고 예방을 위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보건복지부가 국내 최초로 전국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실태조사 결과, 소아청소년 16.1%가 정신장애를 경험했으며, 7.1%는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소아청소년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은 16.1%(소아 14.3%, 청소년 18.0%)로 나타났고, 현재 유병률은 7.1%이며, 소아 4.7%, 청소년 9.5%로 청소년 유병률이 소아의 유병률에 비해 약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평생 유병률: 현재와 과거 어느 한 시점이라도 정신장애 진단 기준을 충족한 경우

현재 유병률: 조사 시점에 증상 지속기간을 포함하여 장애진단 기준을 충족한 경우

 

또한 평생 한 번이라도 정신장애를 경험한 소아청소년 중 지난 1년 동안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비율은 4.3%(소아 4.7%, 청소년 4.0%)였으며, 정신건강서비스의 평생 이용 비율은 6.6%(소아7.8%, 청소년 5.6%)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주간 자살 관련 행동(현재 경험 비율)의 경우, 자살사고(상각) 1.0%(소아0.2%, 청소년 1.9%), 자살시도는 0.2%(소아0.0%, 청소년 0.4%), 비자살적 자해는 1.4%(소아 1.0%, 청소년 1.7%)로 청소년의 경험 비율이 소아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김붕년 서울대학교 교수는 본 조사는 전국적인 소아청소년 정신장애와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첫 번째 국가통계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면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7.1%는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제고 방안과 주기적인 추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