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6,460건 상담 접수... 사기 피해가 제일 많아

▷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피해 상담 건수, 2022년보다는 줄어
▷ '사기·편취 피해’, ‘예매 및 예약서비스 피해'는 크게 증가

입력 : 2024.04.24 16:51 수정 : 2024.04.24 16:52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6,460건 상담 접수... 사기 피해가 제일 많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는 총 6,460건의 피해 상담이 접수되었습니다. 2022 8,723건 보다는 26% 가량 감소하긴 했으나, ‘사기·편취 피해 1,149건으로 2.7, ‘예매 및 예약서비스 피해가 364건으로 2.4배 늘어났습니다.

 

특히, ‘사기·편취피해의 경우, 소비자들의 주 구매 패턴인 가격 비교를 악용해, 소비자들을 유인했습니다. 오픈마켓에 최저가로 상품을 등록한 뒤, 재고부족 등을 이유로 사기 사이트에서 결제하도록 하는 수법이었는데요.

 

이에 대해, 서울시는 결제 전 재고 문의 유도, 일방적 주문 취소 후 타 사이트 구매 안내 등의 경우는 사기가능성이 높고, 지나치게 저렴하고 구매 후기가 없는 오픈마켓 판매자와는 거래를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오픈마켓은 그 특성상 심사가 까다롭지 않아 사기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인데요.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입할 경우 반드시 사업자등록번호통신판매업번호의 표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아울러, 사기 피해의 90% 이상이 계좌이체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므로, 결제는 체크·신용카드를 이용하는 쪽이 안전합니다.

 

 

(출처 = 서울시)

 

 

피해 품목은 의류 1,505(23.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신발·가방·패션잡화·귀금속 1,080(16.7%), ‘레저·문화·아이돌굿즈’ 879(13.6%), ‘가전용품’ 569(8.8%), ‘예매 및 예약서비스’ 364(5.6%) 순이었는데요.


이 중 예매·예약서비스의 경우, 항공권 관련한 피해 건수가 2022 15건에서 2023 276건으로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엔데믹과 엔저 등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폭증했기에, 항공권 취소수수료 관련 분쟁도 늘어난 것으로 보이는데요.


김경미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 曰 지난 한 해 온라인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 주요 호스팅사와 협력하여 모니터링 및 사이트 차단 조치를 강화했다. 소비자 피해 및 분쟁사례가 증가한 품목은 유관기관 및 온라인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소비자 보호에 힘쓰겠다


한편, 온라인쇼핑과 관련해서 중국의 쇼핑몰에 대한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근 1년 이내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이용 현황 및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8(80.9%)이 이용에 불만이 있으며 피해를 경험한 적도 있다고 답했습니다.

 

세부적인 불만이나 피해사항(복수응답)으로 10명 중 6(59.5%)은 배송 지연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으로는 낮은 품질’(49.6%), ‘제품 불량’(36.6%), ‘과대 광고’(33.5%), ‘AS 지연’(2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들은 피해예방이나 해결책에 대해, ‘국가간 소비자 피해해결을 위한 공조 협력시스템 구축 강화’(56.9%)가 가장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피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피해 사례정보 제공’(49.5%)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

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

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

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

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

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

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