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6,460건 상담 접수... 사기 피해가 제일 많아
▷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피해 상담 건수, 2022년보다는 줄어
▷ '사기·편취 피해’, ‘예매 및 예약서비스 피해'는 크게 증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는 총 6,460건의 피해 상담이 접수되었습니다. 2022년 8,723건 보다는 26% 가량 감소하긴 했으나, ‘사기·편취 피해’가 1,149건으로 2.7배, ‘예매 및 예약서비스 피해가 364건으로 2.4배 늘어났습니다.
특히, ‘사기·편취’ 피해의 경우, 소비자들의 주 구매 패턴인 가격 비교를 악용해, 소비자들을 유인했습니다. 오픈마켓에 최저가로 상품을 등록한 뒤, 재고부족 등을 이유로 사기 사이트에서 결제하도록 하는 수법이었는데요.
이에 대해, 서울시는 “결제 전 재고 문의 유도, 일방적 주문 취소 후 타 사이트 구매 안내 등의 경우는 사기가능성이 높고, 지나치게 저렴하고 구매 후기가 없는 오픈마켓 판매자와는 거래를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오픈마켓은 그 특성상 심사가 까다롭지 않아 사기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인데요.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입할 경우 반드시 ‘사업자등록번호’와 ‘통신판매업번호’의 표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아울러, 사기 피해의 90% 이상이 계좌이체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므로, 결제는 체크·신용카드를 이용하는 쪽이 안전합니다.

피해 품목은 ‘의류’가 1,505건(23.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신발·가방·패션잡화·귀금속’이 1,080건(16.7%), ‘레저·문화·아이돌굿즈’ 879건(13.6%), ‘가전용품’ 569건(8.8%), ‘예매 및 예약서비스’ 364건(5.6%) 순이었는데요.
이 중 예매·예약서비스의 경우, 항공권 관련한 피해 건수가 2022년 15건에서 2023년 276건으로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엔데믹과 엔저 등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폭증했기에, 항공권 취소수수료 관련 분쟁도 늘어난 것으로 보이는데요.
김경미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 曰 “지난 한 해 온라인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 주요 호스팅사와 협력하여
모니터링 및 사이트 차단 조치를 강화했다. 소비자 피해 및 분쟁사례가 증가한 품목은 유관기관 및 온라인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소비자 보호에 힘쓰겠다”
한편, 온라인쇼핑과 관련해서 중국의 쇼핑몰에 대한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근 1년 이내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800명을 대상으로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이용 현황 및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8명(80.9%)이 이용에 불만이 있으며 피해를 경험한 적도 있다고 답했습니다.
세부적인 불만이나 피해사항(복수응답)으로 10명 중 6명(59.5%)은 배송 지연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으로는 ‘낮은 품질’(49.6%), ‘제품 불량’(36.6%), ‘과대 광고’(33.5%), ‘AS 지연’(2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들은 피해예방이나 해결책에 대해, ‘국가간 소비자 피해해결을 위한
공조 협력시스템 구축 강화’(56.9%)가 가장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피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피해 사례정보 제공’(49.5%)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