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치사율 30% ‘식인 박테리아’의 공포에 떠는 일본…예방법은?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환자 수 전년 대비 3배 가량 증가
▶손씻기와 기침예절 등으로 예방 가능...감염 시 신속하게 병원 찾아야

입력 : 2024.03.25 13:00 수정 : 2024.03.25 14:17
[외신] 치사율 30% ‘식인 박테리아’의 공포에 떠는 일본…예방법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일본에서 확산세를 보이는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 수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MBS뉴스는 '식인 박테리아'로 불리는 이른바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인한 STSS 환자 수는 올해 첫 7주 동안 약 338명으로 전년 120명 보다 약 3배 증가했다고 지난 24일 밝혔습니다. 

 

STSS200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증가세를 보여왔고, 2020년 코로나 기간동안 감소세를 보였지만, 엔데믹 후 다시금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국립 감염증 연구소에 따르면 STSS는 감염된 환자 30%가 목숨을 잃을 정도로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염병학 전문가인 키도 야스토시 오사카공립대학 대학원 교수는 “(STSS로 인해) 작년 천명의 환자 중 30%은 목숨을 잃었다라며 “STSS는 박테리아가 내뱉는 독소로 사람의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자극되면서 슈퍼 항원이 만들어지고, 슈퍼 항원으로 인해 체내 면역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 스스로를 공격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키도 교수는 이어 비교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의 경우, STSS로 인한 위험에 비교적 안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STSS의 초기 증상으로는 손발 통증 또는 붓기, 발열 등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STSS는 급격하게 병세가 악화되는 특징이 있어 발병 후 수십시간만에 조직 괴사, 급성 신부전, 다기관 부전 등으로 이어져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키도 교수는 “STSS는 시간 단위로 악화되는 특징이 있어 아침에 몸이 좀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가, 저녁에 정신을 잃는 정도의 속도로 병세가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STSS는 코로나처럼 비말 또는 신체접촉으로 인해 감염이 되기 때문에 손씻기와 기침예절 등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STSS에 감염됐을 경우, 증상이 경미한 시점이라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세가 심할 경우 절제술 같은 외과적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한편 질병청은 STSS 환자 증가와 관련해 국내외 발생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STSS는 사람 간 접촉을 통한 전파가 드물며 동일원인균으로 감염될 수 있는 성홍열(STSS와 동일한 원인균으로 감염이 발생하는 질환)의 국내 발생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맞은 낮은 점 등을 고려했을 때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다만,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조기진단 및 신속한 치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

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

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

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

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

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