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리더] 김영수 엘림디엠피 대표, "철보다 강하지만 깃털처럼 가벼운 복합재료, 미래차 시장의 중요한 역할 할 것"
▶복합재료 개발 전문 기업 엘림디엠피 김영수 대표 인터뷰
![[비전 리더] 김영수 엘림디엠피 대표, "철보다 강하지만 깃털처럼 가벼운 복합재료, 미래차 시장의 중요한 역할 할 것"](/upload/e4e495d139314a5ba2ba7af0a375ced5.jpg)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현재 복합재료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유망 사업으로 엘림디엠피는 높은 수준의 복합재료 제작 및 개발 기술을 토대로 기존에 추진해왔던 컨셉카ㆍ쇼카 제작뿐만 아니라 드론, 태양광 등 다양한 사업 분야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다"
김영수 엘림디엠피 대표는 위즈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엘림디엠피는 복합재료 개발 전문 기업으로 복합재료를 이용해 컨셉카나 쇼카 전시품 등을 제작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복합재료는 두 가지 이상의 소재를 합쳐 물리적ㆍ화학적으로 각각의 소재가 원래의 상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소재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도록 한 재료를 말합니다.
엘림디엠피는 복합재료 제작 및 연구, 시험 등에 대한 전문 장비 및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복합재료를 현대ㆍ기아자동차, LG전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 제공해 국내 자동차ㆍ항공 등 다양한 사업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김 대표와의 일문일답
엘림디엠피 사업 설명을 하고 있는 김영수 대표의 모습(출처=위즈경제)
Q.복합재료 시장 규모와 전망은?
우선 복합재료의 대표격인 탄소섬유 시장의 경우, 소비량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 세계 탄소섬유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8조4000억원이었지만, 2032년에는 약 28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다양한 기업들에서 탄소섬유 등 복합재료에 주목하면서 향후 복합재료에 대한 수요는 더욱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엠림디엠피는 복합재료에 대한 생산 기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복합재료를 필요로 하는 업체ㆍ기관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자 합니다.
Q.향후 등장하게 될 미래차는 어떤 디자인적인 요소가 강조될 것으로 보는지?
최근 미래차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면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수단이 아닌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는 곧 집과 차량의 구분이 없어지는 것으로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와 함께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 대비 주행거리가 짧아 배터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업체에서 힘을 쏟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때 복합재료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주행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배터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만큼 차체를 가볍게 만드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복합재료는 강철과 비슷한 강도를 지녔지만, 무게는 획기적으로 줄여 전기차의 주행거리 효율성을 높이기에 용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향후 미래차를 구성할 다양한 부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Q.미래차 전환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미래차가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컨셉카 디자인 관련 엘림디엠피의 특장점은?
기존의 컨셉카, 이른바 '더미'를 만들 때는 굳이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차량의 전장화와 함께 내부에 다양한 시스템이 탑재되면서 공간 확보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됐습니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복합재료는 강철의 강도를 지녔지만, 무게는 최소화할 수 있어 컨셉카 제작 시 공간 확보에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차량 내 다양한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다는 것이 엘림디엠피가 지닌 특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향후 엘림디엠피의 사업 계획은?
엘림디엠피는 복합재료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연마를 통해 자동차 분야뿐만 아니라 드론, 태양광 등 다방면으로 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높은 수준의 복합재료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컨셉카 및 쇼카 제작 등을 위한 노력도 지속할 계획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