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설 차례상 차림비용 309,641원... 지난해보다 0.7% 높아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 "설 10대 성수품 가격은 지난해보다 3.1% 낮아"
▷ 전통시장 물가 오르고, 대형마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전통시장에서 사는 게 저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민족대명절 설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소비자물가 관리에 여념이 없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설 차례상 차림비용은 작년보다 0.7% 높고, 설 10대 성수품 가격은 지난해보다 3.1%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가 지난 6일에 조사한 설 차례상 차림비용은 309,641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1월 17일(설 5일 전)보다 0.7% 늘어났는데요.
장소
별로 보면 전통시장이 288,233원으로 지난해보다 2.9% 오른
반면 대형유통업체는 336,048원으로 1.1% 감소했습니다.
품목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통시장에서 전년대비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시금치(400g)입니다. 지난해 기준 2,053원에서 올해 3,672원으로 78.9%의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이외에도 사과(5개 17,585원, 50.4%), 배추(300g, 407원, 37.5%), 배(5개 19,538원, 23.2%) 부침용 두부(4모 6,793원, 20.0%) 등의 물가가 전년대비 증가했습니다.
가격이 떨어진 품목은 녹두(1kg 16,931원, -12.7%), 소고기 양지(300g 20,157원 -7.8%) 등이 있습니다.
대형마트의 경우 대부분의 품목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강정(150g 내외 5,821원, 29.4%), 곶감(9개 11,239원, 20.2%), 다시마(10g 391원, 17.8%), 밤(1kg 10,436원, 16.6%) 쌀(500g 1,420원 14.8%) 등 비교적 적은 수의 품목들이 대형마트에서 값이 올랐습니다.
물론, aT가 조사한 설 차례상 차림비용 결과와 다른 기관이 조사한 결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설을 앞두고 aT뿐만 아니라, 한국물가협회,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이 이를 조사하고 있는데, 조사대상과 조사품목, 차례상 구성 기준 등이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지난, 1월 19일부터 2월 6일까지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10대 설 성수품의 평균 소비자 가격(aT 조사)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상 재해로 인해 생산에 차질을 겪고 있는 사과(11.1%), 배(19.5%)의 가격은 지난해보다 높으나, 소고기(-2.7%), 돼지고기(-6.5%), 계란(-11.3%) 등 축산물 가격이 안정되어 전체적인 가격의 하락세를 이끌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설 성수품 수급안정을 위해 정부 비축·계약재배 물량 등을 활용하여 10대 성수품을 19만 4천 톤, 평시 대비 1.6배 수준으로 확대 공급하고 있다”며, 지난 6일 기준 계획 대비 107%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그러면서,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59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30% 할인 행사를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설 물가와는 별개로, 설 특수를 누려야 할 소상공인·전통시장 상인들은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발간한 ‘2024 1월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BSI)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이 체감하는 1월 경기동향이 감소한 건 물론, 소상공인들이 갖고 있는 2월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소상공인의 2024년 1월 체감 BSI는
48.1로 전월대비 10.9p 감소했으며, 2월 전망 BSI는 65.2로
전월대비 14.3p 떨어졌습니다. 전통시장의 경우 1월 체감 BSI가 40.4로
전9.3p 감소, 2월 전망 BSI는 73.2로 전월대비 2.0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모두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감소’를 주된 우려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소상공인의 39.4%, 전통시장 상인의 31.4%가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감소’ 때문에 2월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았는데요.
그래도, 전통시장 상인들의 경우 78.6%가 ‘명절로 인한 매출 증가’(78.6%) 덕분에 체감 경기가 호전되었다고 인식했습니다.
이번 설을 앞둔 기간 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할인 정책이 소비자들의 심리를 움직여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에게도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