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올해 설 차례상 차림비용 309,641원... 지난해보다 0.7% 높아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 "설 10대 성수품 가격은 지난해보다 3.1% 낮아"
▷ 전통시장 물가 오르고, 대형마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전통시장에서 사는 게 저렴

입력 : 2024.02.07 15:06 수정 : 2024.02.07 15:10
올해 설 차례상 차림비용 309,641원... 지난해보다 0.7% 높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민족대명절 설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소비자물가 관리에 여념이 없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설 차례상 차림비용은 작년보다 0.7% 높고, 설 10대 성수품 가격은 지난해보다 3.1%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가 지난 6일에 조사한 설 차례상 차림비용은 309,641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117(5일 전)보다 0.7% 늘어났는데요.

 

장소 별로 보면 전통시장이 288,233원으로 지난해보다 2.9% 오른 반면 대형유통업체는 336,048원으로 1.1% 감소했습니다.

 

품목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통시장에서 전년대비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시금치(400g)입니다. 지난해 기준 2,053원에서 올해 3,672원으로 78.9%의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이외에도 사과(517,585, 50.4%), 배추(300g, 407, 37.5%), (519,538, 23.2%) 부침용 두부(46,793, 20.0%) 등의 물가가 전년대비 증가했습니다.

 

가격이 떨어진 품목은 녹두(1kg 16,931, -12.7%), 소고기 양지(300g 20,157-7.8%) 등이 있습니다.

 

대형마트의 경우 대부분의 품목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강정(150g 내외 5,821, 29.4%), 곶감(911,239, 20.2%), 다시마(10g 391, 17.8%), (1kg 10,436, 16.6%) (500g 1,42014.8%) 등 비교적 적은 수의 품목들이 대형마트에서 값이 올랐습니다.

 

물론, aT가 조사한 설 차례상 차림비용 결과와 다른 기관이 조사한 결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설을 앞두고 aT뿐만 아니라, 한국물가협회,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이 이를 조사하고 있는데, 조사대상과 조사품목, 차례상 구성 기준 등이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지난, 119일부터 26일까지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10대 설 성수품의 평균 소비자 가격(aT 조사)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상 재해로 인해 생산에 차질을 겪고 있는 사과(11.1%), (19.5%)의 가격은 지난해보다 높으나, 소고기(-2.7%), 돼지고기(-6.5%), 계란(-11.3%) 등 축산물 가격이 안정되어 전체적인 가격의 하락세를 이끌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설 성수품 수급안정을 위해 정부 비축·계약재배 물량 등을 활용하여 10대 성수품을 194천 톤, 평시 대비 1.6배 수준으로 확대 공급하고 있다, 지난 6일 기준 계획 대비 107%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그러면서,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59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30% 할인 행사를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설 물가와는 별개로, 설 특수를 누려야 할 소상공인·전통시장 상인들은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발간한 ‘2024 1월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BSI)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이 체감하는 1월 경기동향이 감소한 건 물론, 소상공인들이 갖고 있는 2월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소상공인의 20241월 체감 BSI48.1로 전월대비 10.9p 감소했으며, 2월 전망 BSI65.2로 전월대비 14.3p 떨어졌습니다. 전통시장의 경우 1월 체감 BSI40.4로 전9.3p 감소, 2월 전망 BSI73.2로 전월대비 2.0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모두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감소를 주된 우려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소상공인의 39.4%, 전통시장 상인의 31.4%경기침체로 인한 소비감소때문에 2월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았는데요.


그래도, 전통시장 상인들의 경우 78.6%명절로 인한 매출 증가’(78.6%) 덕분에 체감 경기가 호전되었다고 인식했습니다.


이번 설을 앞둔 기간 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할인 정책이 소비자들의 심리를 움직여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에게도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