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전국 출생아 수 17,531명, 감소세 지속
▷ 11월 전국 출생아 수 전년동월대비 1,450명 줄어
▷ 인구는 자연 감소세, -12,724명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11월의 국내 출생아 수는 총 17,531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사망자 수는 30,255명으로 같은 기간 0.3% 늘어나면서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는 -12,724명으로 나타났는데요.
통계청의 ‘2023년 1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2023년 11월의 전국 출생아 수는 17,531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50명(-7.6%) 감소했습니다. 지난 9월(18,707명), 10월(18,904명)에 미치지 못하는 건 물론, 시도 별로 봤을 때 출생아 수가 늘어난 지역은 충북, 충남 등 3곳뿐입니다.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누계 출생아 수는 213,572명으로 전년대비 8.1% 감소했는데요. 자연증가의 경우, 같은 기간 -106,994명으로
나타나면서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지역 별로 봐도,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인구는 자연 감소했습니다. 특히, 전북과 전북의 감소율이 7.4%로 가장 컸으며,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 역시 각각 1.8%, 1.2%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2023년 11우러 혼인 건수는
16,695건으로 전년동월대비 760건(-4.4%) 줄어 들었고, 이혼 건수 역시 7,923건으로 같은 기간 575건(-6.8%)
감소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좀처럼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 산하 저출산고령화위원회는
24일 미래세대자문단 위촉식 및 청년보좌역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교육부와 법무부 등 정부 18개 인구정책 관계부처의 청년보좌역이 참여해, 저출산·고령사회 대책 공유, 부처별
정책 보완사항 발굴 및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 제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요.
청년보좌역들은 사회적 분위기가 전환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을 보냈습니다. 청년에게 결혼과 출산, 양육에 더해 부양의무 책임까지 오롯이 부담하게 하는 건 부당하다는 이야기인데요. 이들은 인구감소에 대한 발상의 전환, 청년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 완화, 육아와 자기 계발을 병행할 수 있는 사회, 청년과 고령자 세대 상생과 연대, 다양성 존중, 공정한 기회 보장 등의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정책에 대해서 청년보좌역들은 소속부처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육아휴직의 활성화와 유연한 근무환경, 세대간 소통과 교류 강화가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曰 “위원회는 수백 개의 백화점식 사업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체감도, 효과성 높은 정책 중심으로 선택 및 집중하면서 근본적 변화를 위한 구조개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사회적 합의에 기반한 노동·교육·주거 등 사회구조 개혁과 가족 친화 사회문화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정치권에선 여러가지 정책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지난 18일 열린 제159차 정책조정회의 모두발언에서 “민주당은 이번 저출산 대책에서 주거, 자산, 돌봄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패키지를 구성했다”며, “주거, 자산, 돌봄 세 개의 축으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그 아래에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여성 경력단절 방지책과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내세울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
측도 유사합니다. 국민의힘 공약개발본부는 18일 발표한 ‘1호 공약: 일·가족 모두행복’을 통해 여러가지 저출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부총리급 인구부를 신설해
저출생 정책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를 만들고, 출산휴가를 ‘아이
맞이 아빠휴가’로 개명해 그에 대한 유급휴가 1개월을 의무화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