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공급·가격 안정 위해 6조 원 투자... 국제유가는 혼조세
▷ 최남호 2차관, "석유가격 안정, 무엇보다 중요"
▷ 등락 거듭하는 국제유가.. 최근엔 상승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4일, 석유업계는 안정적인 석유공급과 가격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며,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과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2030년까지 약 6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친환경 연료 분야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탄소중립이라는 전세계적인 트렌드를 만족하는 건 물론, 국제 유가에 흔들리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건데요.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국내 정유4사(SK에너지, GS칼텍스, 에스오일, HD현대오일뱅크)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석유는 민생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필수 소비재로서 국민들이 먼저 민생회복을
체감하기 위해선 석유가격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원유
도입부터 수출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즉시 공유하고 신시장 개척과 유망품목 발굴을 통해 수출 상승 모멘텀을 이어가길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석유가 국내 산업에서 미치는 파급력만큼이나 유가를
안정시키는 게 최우선이라는 이야기인데요.
최근 국제유가는 등락을 거듭하다가 점차 상승세에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두바이유(Dubai)는 배럴당 79.89달러로, 전월동일비 0.77% 상승했습니다. 브랜트(Brent)와 오맨(Oman), WTI유 역시 12월에 비해선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국내의 경우, 주유소의 휘발유 및 경유 판매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정유사의 공급가격은 오르고 있습니다. 1월 셋째주 기준 주유소의 휘발유·경유의 판매가격은 지난해 10월 2주부터 15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휘발유가 전주 대비 6.0원 감소한 리터당 1564.2원, 경유는 8.0원 하락한 1474.7원을 기록했습니다.
정유사가 공급하는 석유제품의 공급가격은 주유소와 달리 증가했습니다. 휘발유가 전주 대비 2.4원 증가한 1494.9원에, 경유는 11.8원 오른 1395.0원에 거래되었는데요.
이처럼 국내외 석유가격이 혼조세를 보이는 이유는 수많은 요인이 뒤섞여 유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 유가가 하락세를 보일 때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기의 불확실성 △중국 경제지표 부진 등이 강력한 원인으로 작용하다가, 상승세일 때는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미국 증시 호조 등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에 관해, 국제금융센터는 ‘2024년 국제원유시장 전망’을 통해, 올해의 국제유가는 복합적인 요인 사이에서 강력한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짚은 바 있습니다. 유가에 영향을 미치는 상/하방 요인을 전부 배제했을 경우, 국제금융센터는 “생산 증가세를 상회하는 수요 증가세로 세계 원유수급은 공급부족이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먼저, OPEC+가 국제유가 방어를 위해 감산을
밀어붙이는 한편, 미국과 캐나다, 브라질 등 OPEC+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의 생산량이 충분히 늘어날 것이란 전망입니다. 특히, 미국은 셰일붐(Shale Boom)이 나타나 사우디와 러시아를 상회하는
규모(1월 5일 기준 1,32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활발한 원유 생산에도 불구하고, 국제금융센터는 “2024년 세계 (원유) 수급은
생산 증가세를 상회하는 수요 증가세에 힘입어 3년 만에 공급부족으로 전환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제금융센터의 이러한 국제유가 전망에 외부적인 요인을 개입시키면 상황은 복잡해집니다. 국제유가의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 저유가 전망(Low Oil Price
Case)은 크게 세 가지로, △세계 성장세 둔화 가속화 △산유국 생산 경쟁 재개 △유럽 및 중동 지정학 불안 완화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이 시장을 주도할 경우 상황에 따라 국제유가는 2023년
최저점(66$)을 하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국제유가의 인상에 관여하는 ‘고유가 전망’(High Oil Price Case)의 경우, △중동 확전 가능성 △금융여건 개선에 따른 위험선호 회복 △미국 전략 비축유(SPR)의 재비축 △중국 경기부양 효과 기사화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최근 대두하고 있는 요인이 ‘중동 확전 가능성’으로, 예맨 후티 반군의 공격으로 인해 미국과 영국 등이 이들을 공습하는 등 갈등이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이미 수에즈 운하 통행에는 차질이 생긴 상황인데요.
종합적으로 국제금융센터는 “2024년 국제유가는 수급여건이 전년도에 비해 타이트해짐에 따라 상방압력이 증대될 것으로 보이며, 상반기에는 ‘저유가 전망’이 하방기에는 ‘고유가 전망’이 우세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주목해야 할 요인으로 △OPEC+ 감산 철회 및 산유국들의 경쟁 가능성 △중동지역 원유 수송망 리스크 △금융자금의 공격적 유입 여부 등을 제시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