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한은 금리동결 전망
▷한화투자 "상반기 현 수준 정책 유지할 것"
▷IBK투자 "인하 전망, 연준 행보와 국내 물가수준 부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증권가는 한국은행이 오는 11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최근 경제 위기때마다 부채 증대에 의존한 임기웅변식 성장을 도모하던 시대는 지났음을 강조했고 여전히 국내 물가수준이 높은 만큼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는 어렵다는 시각입니다.
8일 증권가 전문가들은 한은이 1월 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하고 이전과 동일하게 매파적인 입장(스탠스)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연구원은 "한은은 경제가 어려워질 때마다 재정의 확대와 저금리에 기반한 부채 증대에 의존해 임기응변식으로 성장을 도모하던 시대는 지났음을 강조했다"며 "단기적 이슈 때문에 통화정책의 큰 틀을 바꾸는 일은 없다는 얘기"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금통위원들의 향후 3개월 금리 전망은 3.50% 유지가 4명,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놓는 위원은 2명으로 예상된다"며 "1월을 넘어 상반기까지 지금 수준의 통화정책이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경제가 정책 방향을 바꾸기는 어렵다"라며 "물가는 '라스트 마일(Last Mile)' 단어만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총재는 여러 정책 고려 요인들을 언급하면서도 여전히 물가안정이 최우선 목표임을 강조했다"며 "물가목표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오기 전 정책 변화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덧붙였습니다.
IBK투자증권에서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했습니다.
권기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회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한국의 경우 12월 근원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목표치인 2%에 대비해 아직 높은 수준이다"며 "1999년 이래 한국은행이 연준보다 먼저 기준금리를 인하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여전히 높은 수준의 국제유가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의 부담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권 연구원은 "국제 유가는 공급요인을 반영해 예년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며 “원자재 순 수입국인 한국은 비용인상 압력을 미국보다 크게 받아 상반기까지 근원 물가가 빠르게 하락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3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4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5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6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7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