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한은 금리동결 전망
▷한화투자 "상반기 현 수준 정책 유지할 것"
▷IBK투자 "인하 전망, 연준 행보와 국내 물가수준 부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증권가는 한국은행이 오는 11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최근 경제 위기때마다 부채 증대에 의존한 임기웅변식 성장을 도모하던 시대는 지났음을 강조했고 여전히 국내 물가수준이 높은 만큼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는 어렵다는 시각입니다.
8일 증권가 전문가들은 한은이 1월 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하고 이전과 동일하게 매파적인 입장(스탠스)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연구원은 "한은은 경제가 어려워질 때마다 재정의 확대와 저금리에 기반한 부채 증대에 의존해 임기응변식으로 성장을 도모하던 시대는 지났음을 강조했다"며 "단기적 이슈 때문에 통화정책의 큰 틀을 바꾸는 일은 없다는 얘기"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금통위원들의 향후 3개월 금리 전망은 3.50% 유지가 4명,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놓는 위원은 2명으로 예상된다"며 "1월을 넘어 상반기까지 지금 수준의 통화정책이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경제가 정책 방향을 바꾸기는 어렵다"라며 "물가는 '라스트 마일(Last Mile)' 단어만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총재는 여러 정책 고려 요인들을 언급하면서도 여전히 물가안정이 최우선 목표임을 강조했다"며 "물가목표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오기 전 정책 변화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덧붙였습니다.
IBK투자증권에서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했습니다.
권기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회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한국의 경우 12월 근원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목표치인 2%에 대비해 아직 높은 수준이다"며 "1999년 이래 한국은행이 연준보다 먼저 기준금리를 인하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여전히 높은 수준의 국제유가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의 부담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권 연구원은 "국제 유가는 공급요인을 반영해 예년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며 “원자재 순 수입국인 한국은 비용인상 압력을 미국보다 크게 받아 상반기까지 근원 물가가 빠르게 하락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