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취업 더 어려워진다”…내년 1분기 채용계획 전년보다 8만 명 감소
▷내년 1분기 채용계획 전년 대비 8만 명 가량 줄어든 55만6000명
▷올해 대기업 정규직 공채 늘었지만 채용 규모는 감소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내기업들이 내년 1분기 채용계획 인원이 전년도보다 8만 명 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종사자 사업체의 올해 4분기~내년 1분기(12월~3월) 채용계획인원은 55만6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8만 명 줄어든 수치입니다.
산업별 채용계획은 제조업이 13만7000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만6000명, 도소매업 6만5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이 5만3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종별로는 경영∙행정∙사무직
7만 명, 영업∙판매직 5만5000명, 음식∙서비스직 5만2000명, 운전∙운송직 4만6000명, 제조∙단순직 3만3000명 등입니다.
이처럼
채용인원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이후 2021~2022년
채용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지속적인 인력 충원이 이뤄진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 및 창고업 등에서 감소한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인원인 ‘미충원 인원’은
3분기 13만9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51천명(2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충원율은 3.7%포인트 줄어든 11.5%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올 한 해 대기업의 정기 공채는 늘었지만, 전체적인 채용 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8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회원기업 768곳을 대상으로 ‘2023년 채용결산
조사’를 실시한 결과,올해 국내 기업 중 정규직 대졸신입을
1명 이상 채용한 곳은 68.2%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의 68.3%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기업 규모별로 들여다보면 대기업 73.3%, 중견기업 83.5%, 중소기업 65.1%입니다.
특히 대기업은 최근 5년간 조사에서 가장 낮은 채용률을 기록했습니다. 대기업 채용률은 2018년 94.5%에서
2020년 89.5%, 2021년 91.9%, 2022년 87.2%로 하락세입니다.
대기업의 경우 정규직 정기공채가 43.9%로 지난해 17.4%보다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턴 채용 비중은 19.5%로
전년 30.4%보다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올해 채용시장에서 정기공채의 비율은 늘었습니다. 다만, 올해 대기업 채용 규모는 한 자릿수 33.3%, 두 자릿수 54.5%, 세 자릿수 12.1%로 작년(한 자릿수 24.4%,
두 자릿수 58.5%, 세 자릿수 17.1%)과
비교했을 때 한 자릿수 비중은 늘고 세 자릿수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