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취업 더 어려워진다”…내년 1분기 채용계획 전년보다 8만 명 감소
▷내년 1분기 채용계획 전년 대비 8만 명 가량 줄어든 55만6000명
▷올해 대기업 정규직 공채 늘었지만 채용 규모는 감소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내기업들이 내년 1분기 채용계획 인원이 전년도보다 8만 명 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종사자 사업체의 올해 4분기~내년 1분기(12월~3월) 채용계획인원은 55만6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8만 명 줄어든 수치입니다.
산업별 채용계획은 제조업이 13만7000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만6000명, 도소매업 6만5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이 5만3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종별로는 경영∙행정∙사무직
7만 명, 영업∙판매직 5만5000명, 음식∙서비스직 5만2000명, 운전∙운송직 4만6000명, 제조∙단순직 3만3000명 등입니다.
이처럼
채용인원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이후 2021~2022년
채용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지속적인 인력 충원이 이뤄진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 및 창고업 등에서 감소한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인원인 ‘미충원 인원’은
3분기 13만9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51천명(2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충원율은 3.7%포인트 줄어든 11.5%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올 한 해 대기업의 정기 공채는 늘었지만, 전체적인 채용 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8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회원기업 768곳을 대상으로 ‘2023년 채용결산
조사’를 실시한 결과,올해 국내 기업 중 정규직 대졸신입을
1명 이상 채용한 곳은 68.2%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의 68.3%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기업 규모별로 들여다보면 대기업 73.3%, 중견기업 83.5%, 중소기업 65.1%입니다.
특히 대기업은 최근 5년간 조사에서 가장 낮은 채용률을 기록했습니다. 대기업 채용률은 2018년 94.5%에서
2020년 89.5%, 2021년 91.9%, 2022년 87.2%로 하락세입니다.
대기업의 경우 정규직 정기공채가 43.9%로 지난해 17.4%보다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턴 채용 비중은 19.5%로
전년 30.4%보다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올해 채용시장에서 정기공채의 비율은 늘었습니다. 다만, 올해 대기업 채용 규모는 한 자릿수 33.3%, 두 자릿수 54.5%, 세 자릿수 12.1%로 작년(한 자릿수 24.4%,
두 자릿수 58.5%, 세 자릿수 17.1%)과
비교했을 때 한 자릿수 비중은 늘고 세 자릿수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