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내 제조업에 봄 찾아오나... 지난달 기준 생산, 출하 모두 증가세

▷ 제조업 생산 전월대비 3.3%, 전년동월대비 5.3% 증가
▷ 반도체 회복세 돋보여

입력 : 2023.12.28 10:45 수정 : 2023.12.28 10:48
국내 제조업에 봄 찾아오나... 지난달 기준 생산, 출하 모두 증가세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 제조업에 봄이 찾아온 듯합니다. 통계청의 ‘2023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국내 전산업군에서의 생산은 전월대비 0.5% 늘어났으며, 이를 광공업이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설업, 공공행정,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으로, 11월 광공업의 생산은 광업 및 제조업, 전기·가스업에서 모두 증가해 전월대비 3.3% 증가했습니다.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5.3%의 성장률을 보였는데요. 광공업의 출하 역시, 제조업 및 전기·가스업에서 늘어 전월대비 5.2% 상승했습니다. 광공업 전 분야에서 활기가 엿보입니다.

 

특히, 제조업의 회복세가 돋보입니다. 제조업 생산은 전월대비 3.3%, 전년동월대비 5.3% 증가했는데요. 반도체의 경우, 전월대비 생산이 12.8%, 전년동월대비 42.4% 늘어나면서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202211월의 성적(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22.6%)과 비교하면 크게 개선된 셈입니다. 반도체뿐만 아니라, 기계장비(8.0%), 통신·방송장비(14.8%) 등이 전월대비 좋은 성적을 거뒀으며, 1차금속(11.2%), 금속가공(6.7%), 석유정제(3.4%) 등은 전년동월대비 생산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제조업 내 출하 또한 반도체가 견인했습니다. 국내 제조업의 출하는 전월대비 5.2%, 전년동월대비 7.0% 늘어났는데, 반도체의 경우 각각 30.2%, 80.1%가 증가했습니다. 생산과 출하가 늘어났다는 건 곧 쌓여 있던 재고가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로, 반도체 재고는 전월대비 3.8% 감소했습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 전년동월대비 0.6% 증가

제조업 가동률지수 전월대비 2.6% 증가

 

광업과 제조업의 활력은 지난해부터 관측된 바 있습니다.

 

통계청의 ‘2022년 광업·제조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광업과 제조업의 10인 이상 사업체수는 73,595개로 전년 대비 731(1.0%) 증가했으며, 종사자 수는 2991천명으로 전년 대비 43천명(1.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출하액은 2,044.2조 원, 전년 대비 275.2조 원(15.6%) 상승했으며, 부가가치는 726.5조 원으로 82.8조 원(12.9%) 증가했습니다. 사업체당 출하액과 부가가치도 각각 278억 원, 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억 원(14.4%), 10억 원(11.7%) 늘었습니다.

 

전망도 나쁘지 않습니다. 한국은행의 ‘2023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제조업의 12월중 업황 BSI70으로 전월과 동일하였으나 다음달 전망지수는 전월대비 1p 오른 69로 나타났습니다. 자금사정을 제외한 매출과 채산성 BSI의 다음달 전망이 각각 3p, 1p 상승했는데요.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매월 기업경기 동향 파악 및 다음달 전망을 위해 기업가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지수화한 자료

 

다만, 불확실한 경제상황 등 여러가지 애로사항은 남아 있습니다. 국내 제조업이 꼽은 경영애로사항은 불확실한 경제상황의 비중(22.2%)이 가장 높았으며, 내수부진(20.9%)과 인력난·인건비 상승(11.7%)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수출부진(11.5%)과 원자재 가격 상승(8.5%), 자금부족(6.7%) 등도 여전한 경영애로사항으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