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창업 많은 '이 업종'... 현실은 녹록지 않아
▷ 2022년 기준 '교육서비스업' 전년 대비 3.3% 늘어나
▷ 사업체당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개선
▷ 소상공인 경기체감지수는 지난 11월 기준 하락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2 소상공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412.5만 개로 전년 대비 0.2%(0.7만 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0.9%(6.1만 명) 줄어든 714.3만 명으로 집계되었는데요. 소상공인 사업체의 개수 자체는 늘어났으나, 각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인원 수가 감소한 겁니다. 각 소상공인 사업체의 규모가 이전보다 작아진 건데요.
지난해, 가장 많은 창업자들의 선택을 받은 업종은 ‘교육서비스업’입니다. 교육서비스업이
전년 대비 0.6만 개 늘어나면서 3.3% 증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수리·기타서비스업(1.4%),
제조업(0.5%) 등의 순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숙박·음식점 사업체는 1.3% 감소하면서
가장 크게 줄었으며, 예술·스포츠·여가(-1.1%), 도·소매(-0.9%)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소상공인 사업체당 연 매출액은 평균 2억 3,400만 원으로 전년대비 900만 원(4.0%) 증가했으며, 연간 영업이익 역시 3,100만 원으로 300만 원(10.1%) 늘어났습니다.
고금리 등으로 인해 생긴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다소 완화된 듯한 모습인데요. 직종 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사업체당 매출액이 4억 4천만 원으로 전년대비 5.5% 증가했습니다.
도·소매업이 3억 2천만 원(1.5%), 숙박 및 음식점업이 1억 4천 5백만 원(17.1%) 등으로 업종 대부분의 매출액은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사업체당 영업이익의 경우, 제조업이 5천만 원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습니다만 전년과 비교했을 때는 오히려 5.6% 줄어들었습니다.
제조업을
제외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 교육서비스 등의 업종은 모두 전년대비 사업체당 영업이익이 양호해졌습니다. 특히, 예술·스포츠·여가 업종의
경우 전년대비 사업체당 영업이익이 무려 138.6%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소상공인의 사업체당 창업비용은 지난해 기준 8천 5백만 원, 전년 대비 4백만 원 감소했습니다. 창업비용 중 본인부담금은 6천 4백만 원으로 2백만 원 줄어들었는데요. 이 같이 소상공인의 사업실적이 개선되고, 창업비용이 줄어드는 건 창업에 적합한 환경으로 볼 수 있으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정부가 소상공인들에게 경영애로사항(복수응답)을 물어본 결과, 경쟁심화(46.6%), 원재료비(39.6%), 상권쇠퇴(37.7%), 임차료(13.5%), 최저임금(10.4%) 등의 다양한 응답이 나왔습니다.
더군다나, 소상공인 사업체 당 부채 보유비율은 59.3%, 부채액은 1억 8천 5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1천 1백만 원(6.6%)
증가했습니다. 소상공인 10명 중 6명이 각자 1억 원이 넘는 빚을 갖고 있는 셈입니다. 고금리라는 상황을 감안하면 쉽지 않은 상황인데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은 지난해뿐만 아니라 올해에도 잘 드러납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벤처기업부가 국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1월 업종별 경기 체감 지수를 조사한 결과, 제조업을 제외한 업종 대부분의 경기 체감지수가 전월대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상공인 전체의 경기체감지수는 63.6으로 6.0p 감소했으며, 특히 수리업(-12.1p),
부동산업(-11.6p), 교육서비스업(8.8p)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지역 별로 봐도, 강원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국내 모든 지역 소상공인들의 경기체감지수는
전월대비 하락했는데요.
소상공인들은 경기체감지수 중 비용상황(2.5%)을 제외한 다른 부문의 사정은
전월보다 악화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매출이 전월대비 4.4%, 자금사정은
3.3%, 구매고객수는 5.9% 감소했습니다.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 12월 소상공인 경기체감지수는 84.9로, 전월대비 4.5p 하락했습니다. 부정적인 전망의 이유로는 계절적 요인이 31.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감소(28.2%), 유동인구 및 고객 감소(13.1%), 물가·금리 상승으로 비용 증가(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