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3Gbps 속도... 5G에 대한 소비자들의 무너진 신뢰 회복할 수 있을까
▷ 과기정통부, '5G 스몰셀' 기술 시연
▷이중연결성 기술, 업다운 할당 비율 조절해 최고 데이터 속도 3Gbps에 도달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최고속도 20Gbps”,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 “2GB 영화 한 편을 1초 만에 다운로드”, 지난 8월 SK텔레콤을 비롯한 이통3사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336억 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각자가 제공하는 5G 서비스에 대해 거짓, 기만 광고를 일삼았기 때문입니다.
5G의 최고속도가 20Gbps까지 이른다는 이통3사의 말과 달리 실제 속도는 2021년 기준 0.8Gbps(3사 평균)에 불과했고, 객관적인 근거 없이 다른 이통사보다 우월한 속도와 기술력이 돋보인다고 광고했습니다. 이처럼 이통3사가 5G 서비스를 이용해 소비자들을 크게 기만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소비자들의 신뢰는 크게 훼손된 바 있는데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데이터 전송속도를 3Gbps까지 향상시킨 5G 스몰셀(Small cell)을 선보였습니다. 일전에 이통3사가 자사의 5G 서비스 실제 속도가 2Gbps가 넘는다고 광고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유의미한 발전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19일, 과기정통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sub-6GHZ와 mmWave 동시 접속이 가능하고, 업다운 비율 자율 조정으로 다양한 5G 특화망 환경에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5G 스몰셀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며, 기술
시연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스몰셀이란, 기존 매크로 기지국보다 크기와 통신 커버리지가 작은 소형 기지국입니다.
기존 기지국이 실외, 옥상, 산 등지에 설치되어 30km 반경의 사용자 200명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면, 스몰셀 기지국은 건물내, 밀접지역, 5G 특화망 내에 설치되어 2km 반경의 사용자 100명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기존 기지국이 커버하지 못하는 지역에 스몰셀을 설치해 통신 커버리지를 보완하기도 하고, 5G 특화망 환경을 구축하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스몰셀 기술은 2022년 기준, 전체 무선 네트워크 장비 시장의 약 15%를 차지할 정도로 유망합니다. 과기정통부 설명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에서 개발한 5G 스몰셀 제품이 일본에서 성과를 거둬 지난해 기준 42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그 가능성을 눈여겨 보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관 하에 SK텔레콤, 퀄컴 등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기술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5G 스몰셀 기술은, 먼저 단말은 5G의 두 개 대역(sub-6GHZ, mmWave) 기지국에 동시 연결된 상태에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3Gbps를 제공합니다.
mmWave 스몰셀의 경우, 기존엔 NSA(Non Stand Alone, 기존의 LTE와 5G를 함께 사용하는 네트워크 구조) 모드만 가능했습니다.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선 mmWave 스몰셀을 5G 단독망에서 활용할 필요가 있었는데요. 이번 5G 스몰셀의 이중연결성 기술이 이를 가능하게 한 셈입니다.
두 번째로는 ‘업다운 할당 비율’의 자율 조정입니다. 모바일로 방송을 송출하거나, 고화질 CCTV를 운용하기 위해선 다운로드 속도보다 업로드 속도가 중요합니다. 이용자가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속도보다, 콘텐츠 제공자가 영상을 업로드하는 속도가 빨라야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는 다운로드와 업로드의 속도를 결정하는 무선 자원 할당 비중이 7대 3으로 고정되어 있었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었습니다. 기지국 수를 늘리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이 없었는데요.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다운로드와 업로드의 비중을 3대 7로 할당하는 등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용량 동영상 스트리밍 등 서비스의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5G 특화망 운용이 가능해진 겁니다.
이외에도 정책금융지원협의회가 내년도 정책금융 공급계획을 통해 통신(5G)에 0.3조 원을 새롭게 지원하겠다고 밝히는 등, 정부는 5G에 많은 열의를 보이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럼에도 5G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정부가 온전히 회복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문입니다. 이통3사가 5G서비스와
관련해 소비자들에게 남긴 상처가 아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공정위의 과징금과, 정부의 압박으로 5G 요금제를 저가형으로 분화시킨 방안이 뚜렷한
소비자 보상대책이라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5G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선 이통3사의 진정성 있는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그것을 유통시키는 이통3사의 태도에 변화가 없다면 소비자들의 신뢰는 회복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