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마이코플라스마 폐렴 기승에…해열제∙항생제 증산 나선 제약사들
▷국내, 독감∙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확산세로 제약사 해열제∙항생제 증산 나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영유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세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국내에서 인플루엔자(독감)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까지 확산하자 제약사들이 해열제ㆍ항생제 등의 증산에 나섰습니다.
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대원제약은 해열제ㆍ진해거담제 등 감기약 생산량을
최대치까지 끌어올려 수요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한미약품도
겨울철 독감 유행에 따라 해열제 등 품목의 생산량을 선제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11월 19~25일 독감 의사환자분율(외래환자 1천 명당 발열 등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은 45.8명입니다. 이는
2023~2024년 절기 유행 기준인 6.5명의 7배를 넘는 수준입니다.
독감
등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제약사들의 약품 매출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항생제 생산은 지난 10월부터 현재까지 작년 동기 대비 약 20%, 진해거담제
생산은 약 15% 증가했습니다.
동아제약의
어린이 해열제 ‘챔프’의 매출도 지난 8월 1억5천2백만원에서 지난 10월엔 3배에
가까운 4억2천3백만원으로
늘었습니다.
독감
유행에 더해 중국ㆍ인도네시아 등에서 유행하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우려가 제품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이코플라스마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영역에 있는 미생물로, 폐렴이나 관절염 등을 일으키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에게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영유아 환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는 지난달 첫째 주(10월 29~11월
4일) 173명, 둘째
주(11월 5~11일)
226명, 셋째 주(11월 12~18일) 232명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11월 넷째주(19~25일)엔
270명으로 4주 만에 1.6배
증가했습니다. 넷째 주 입원 환자 연령을 살펴보면 1~6세는
37%, 7~12세는 46.7%로 영유아와 소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항생제로 쉽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항생제
내성이 있는 경우, 플루오로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 등 2차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제치료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